출처 - 위키피디아


총각 의사였을 때에는 부모 마음을 다 알지 못했다가 결혼하고 아이들이 생기니 아이가 열이 나면 당황해서 응급실에 달려오는 것이 이해가 된다. 밤에 가까운 소아과가 문을 닫았을 때 응급실에 가야 하는가, 말아야 하는가 갈등하며 애 옆에서 잠 못 자는 경우가 많다. 내가 의사라고 질병이 피해갈 리 없으니 나라고 별 수 있나…….
병원에 언제 가야 하는가? 그 해답을 명백하게 알려주기란 어렵다. 하지만 왜 아이들이 열이 나는지, 열이 났을 때 집에서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처치가 무엇인지 알면 조금 도움이 될 것이다.

열은 왜 나는가?
뇌하수체 앞부분에 있는 체온 중추가 항상 체온을 외부 기온과 상관없이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열이 나는 경우에는 기준점(set point)을 상향시킨다. 가장 흔한 이유로는 감염이 있다. 감염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체내에서 균에 대해 싸우는 염증세포들이 있는데 이 세포들이 분비하는 세포 호르몬 시토카인(cytokine)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게 되는것이다.

그렇다면 체온 변화가 생겨서 얻는 이익이 무엇인가?
물고기에 세균을 주입하면 물고기는 격렬하게 움직여서 체온을 상승시키려고 한다. 이는 체온이 상승하는 것이 생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항생제 주입에 비할 것은 아니나, 체온이 상승하게 되면 몸에 침입한 세균 역시 생존 환경이 좋지 않게 된다. 몸속에서 외부의 세균 침입에 활성화되는 백혈구 등이 세균과 싸우면서 분비하는 이러한 내분비 물질(cytokine)은 신체에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것과 같다. 과거에 항생제가 없을 때에는 신경 매독에 있어 이러한 발열 치료를 했다는 기록이있다.

그렇다면 열날 때 그냥 지켜봐도 되는 건가?
얻는 것이 있다면 잃는 것이 있는 것이 자연의 섭리다. 개체의 생존 가능성을 조금 높여주기는 하겠지만, 그 가운데 생명을 잃을 가능성 역시 높게 존재한다. 때문에 적극적 개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발열의 대가는 무시할 수 없다.
체온이 섭씨 1도 상승할 때 산소 소비는 13퍼센트 상승하게 된다. 또한 열량 및 수분 필요 역시 증가한다. 열로 인해 정신이 혼미해지기도 하고 소아는 열로 인한 경련을 하기도 한다. 임신 초기에는 섭씨 37.8도 이상의 발열이 단 한 번만 있어도 태아의 신경계 손상이 정상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진다는 연구도 있다. 그러나 정상에서 신경계 손상 발생률이 워낙 낮기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소아가 발열이 있다면 왜 더 걱정을 하는가?
기본적으로 소아는 의사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앞서 말했듯, 산소 소모량, 이산화탄소 발생 및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수분 섭취를 더 필요로 하게 한다. 그러나 갈증이나 통증 같은 자신의몸 상태를 제대로 표현 못 하는 신생아의 경우 집중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기존에 심폐 기능 저하, 만성 빈혈 및 대사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심 기능 저하를, 6개월~5세 소아의 경우는 양성 열성 경련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열이 어느 정도면 병원에 가야 하는가?
체온은 어디서 측정하는가에 따라 같은 시간, 같은 사람에게도 달리나온다. 사실 중심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나 집에서는 불가능하다. 집에서 흔히 쓰는 체온계로 입속에 물고 측정했을 때와 항문에 넣고 측정했을 때 그 온도차는 섭씨 0.6도가 난다. 항문 측정이 조금 더 높게 나온다. 아침, 저녁에 따른 시간 차이도 있으며 여성의 경우생리 주기에 따라 체온이 달라진다. 이를 이용해 배란일도 계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섭씨 38도가 넘으면 의미 있는 발열로 보게 된다.

밤에 열이 날 경우 언제 응급실에 가야 하는가?
섭씨 38도 이상의 발열이 지속된다면 응급실 내원을 권한다. 그렇지만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보채지 않고 수분 섭취를 잘한다면 집에 있는 해열제를 먹이고 미온의 물에 손수건을 적셔 몸에 바르는 것만으로도 체온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빨리 병원에 가야 하는 질환이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성인과 다른 특징이 있다. 발열의 원인이 호흡기 질환인 경우가 많은데, 소아의 호흡기는 기도가 좁아 환기 장애가 쉽게 일어나고 호흡에 중요한 횡격막 등의 호흡근도 쉽게 피곤해진다. 또한 성인에 비해 점액선의 밀도가 높아 가래가 많이 나오고 기관지 점막도 쉽게 부종이 오기 때문에 기도 폐쇄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심한 기침특히 개 짓는 소리를 하는 경우에는 기도 폐쇄라는 응급 상황이 올 수 있으므로 병원에 빨리 가는 것이 좋다.‘ 감염성 상기도 폐쇄’라고 부르는 감염성 크룹(infectious croup)은 경한 쇳소리 기침을 하다가 폐쇄가 심해지면 가슴벽이 호흡할 때 함몰되는 양상과 함께 기침 소리가 개 짓는소리처럼 들리기도 한다. 많은 환아들이 병원에 오는 중에 찬바람을 쏘이며 증상이 완화되어 응급실에 오기도 하지만, 언제든 응급 상황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애들 키우기는 의사도 어렵다.
애들 키우는 것이 어렵다. 원래 어렵다고 하나, 아픈 것만 보더라도 내가 의사지만 참 난처할 때가 많다. 안전사고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어려움이다. 항상 주시해야 한다는 것은 부모가 직장을 가진 이상 어렵다. 아이를 맡겨놓고 애가 아프거나 다치면 속상함은 배가 된다. 부부끼리 다툼도 많아진다. 괜찮다고 얘기해도 열이 몇 번 더 나게 되면 ‘돌팔이’ 취급당하는 것이 싫어 밤에 아픈 것이 아니라면 내가 진찰하지 않고 집 앞에 있는 소아과에 가라고 한다. 젊은 엄마들이 펼치는 아름다운 뒷담화에 소아과 의사들이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그들은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

[참고문헌]

  • Harrison’s Internal Medicin,

  • 소아과학, 홍창의


작성자 : 양광모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