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들은 과연 인디언들을 인간으로 생각하고 있었을까?  읽어나가면서 느껴지는 백인들의 교묘함과 폭력적 우월함, 그리고 그 앞에서 쫓겨나고 스러져가는 인디언들의 모습.  그 모습에서 문득 떠오른 것은 어릴적 내가 보았던 만화속에서의 인디언 캐릭터들이었다.  그들은 하나같이 상의를 벗고 독수리깃털을 길게 꽂고다니며 악역의 모습이거나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등장했지, 절대 친구의 모습으로 등장한 적은 없었다.  인디언들은, 철저하게 적이나 사라져야 할 야만인의 모습으로 인식되어야만 했다.
 
'우월한 문명'을 지닌 백인이 신대륙으로 진입하면서 보여진 역사적 현상의 하나일 것이다.  잉카제국에 스페인 사람들이 들어서면서 보여준 잔인한 살육이나 호주에 백인이 들어서면서 태즈매니아인들이 당했던 학살 등등에 이은 북아메리카 대륙에 백인이 들어서면서 보여준 학살,  달라진 건 백인이 세운 체제가 잔인함과 더불어 교묘함을 더한 것이랄까?

문득 궁금해진다.  '우월한 문명'이란 것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폭력과 탐욕의 다른 말일까?  역사속에서 백인의 영역확장활동은 언제나 그 자리에 존재해왔던 토착민의 멸망을 초래했다.  인디언과 백인간의 갈등만 보아도 갈등구조는 순진함과 포용 대 교묘함과 폭력의 구도였다.  그 구도에서 백인의 승리를 정당화한다면 우리는 인간정신을 자연에 의존하여 어우러지는 삶과 타인에 대한 포용을 말살해버리는 폭력과 탐욕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역사적 결과는 '우월한 문명'을 폭력과 탐욕에 기초한 인간정신으로 보아야 할까?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평화와 포용을 이야기한다.  인간역사의 이 딜레마는 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백인과 인디언과의 생각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인디언에게 땅은 태어나 의지하며 살고 묻혀야하는 가장 소중한 존재였고 들소는 필요한 만큼만 잡아 식량과 살림으로서 활용하는 공존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백인에게 땅은 돈을 주고 살 수 있으며 아무렇게나 파헤쳐서 돈이 될만한 것들을 찾아낼 대상이었고, 들소는 단순히 가죽을 벗겨 팔아먹을 수 있는 대상일 뿐이었다.  인식과 삶의 방식의 차이에서도 역사는 자본에 기초한 탐욕의 승리를 선언하였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한 딜레마를 안겨준다.  그런 방식으로 발전해 온 인간의 삶은 여전히 그런 방식에 의존한 삶을 살면서 자연과의 공존을 이야기한다.  우리는 어디까지 잘못 들어온 것일까?  다시 되잡으려면 어느만큼 되돌아가야 하는 것일까?  그런 의미에서 문명사회가 멸망시킨 과거의 수많은 사람들과 사라져버린 삶의 모습들은 인간의 공존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스승이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부끄럽고 민망해도, 역사라는 우리의 과거를 되짚어보아야 한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