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발전사, 그리고 향후 전망 -진단검사의학 용어를 중심으로 (1)
Brief Histor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Medical Termin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Terms Related to Laboratory Medicine

 

지 제 근   Je-Geun Chi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Professor Emeri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지제근 교수님께서는 지난 2014년 10월 24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추계학술대회의 plenary session 연자로 참석하셔서 "의학용어발전사, 그리고 향후 전망"이란 제목의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한 달 후 교수님은 고인이 되셨습니다. 이 특강 내용을 3부로 나누었는데 첫 번째입니다.  

들어가면서
제1부  우리말 의학용어의 발전사
         의학용어집의 연대별 편찬과정

제2부  우리 의학용어 정책의 현황과 방향
1) 의학용어의 기원과 발달과정
2) 의학용어의 표준화 정책
3) 우리나라의 의학용어 정책


제3부 우리 의학용어의 전망

1) 우리나라 의학용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바람직한 표준화 방향
   1) 의학용어에서 전문용어와 일반용어를 구분해야 한다.
   2) 우리말 의학용어의 기원인 한자(漢字)를 배척해서는 안된다.
   3)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표기방법을 빨리 통일해야 한다



들어가면서


오늘 강연 제목이 진단검사의학 용어를 중심으로 되어있지만, 의학용어 중 진단검사의학에서만 따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주 세분화된 전문용어 외에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강연에서는 우리나라 의학용어 전반에 걸쳐 그 제정된 배경과 오늘까지 발전되어온 과정을 살펴보고, 아울러 우리나라 의학용어 정책과 문제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1. 우리말 의학용어의 발전사



1)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한 의학용어집의 연대별 편찬과


우리가 우리말 의학용어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쓰기 시작한 것은 조선조 때부터라고 생각한다. 1800년대 말 근대의학이 도입되면서 우리말 의학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우리 의학용어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일본이었다. 일제강점기인 1931년 우리나라 학자들만이 모여서 조선의보(朝鮮醫報)를 창간하였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최초의 서양의학 학술지이다.

이것은 한글과 한자를 섞은 순수한 우리말 잡지였지만 사용된 용어의 대부분은 일본의 한자 의학용어를 그대로 썼고 다만 조사, 접속사 등만 한글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때부터 의학용어의 한글화 작업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이 잡지가 발행횟수가 증가하면서 용어를 한글화 하려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체계적 용어제정이나 정리 작업을 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일제 강점기에 우리의학용어가 자리 잡기 위한 중요한 시작이었다고 할 수 있다.

1945년 조국광복과 더불어 각 분과학회가 연차적으로 창설되면서 개별적으로 혹은 집담회나 위원회에서 의학용어가 논의되었는데 의학학술단체 중에서 학술어 제정 활동을 처음 시작한 학회는 안과학회로 1949년 7월이었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이러한 초기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1) 1955년: 보건사회부는 한국표준질병상해 및 사인통계분류표를 세계보건기구(WHO) 분류규정에 따라 작성하였다. WHO 가맹국인 만큼 모든 질병과 상해명을 그 분류규정에 따르고 우리의 의료법, 전염병 예방령, 그외 법규나 공문서에 통일된 의학용어를 사용하여야 할 당위성 때문에 1954년 보건사회부 주관으론 의학용어 심의위원(20명)을 위촉하여 이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것이 정부단위에서 시행한 최초의 의학용어에 대한 사업이었으나 의학전반에 관련된 용어심의는 아니었다.


(2) 1969년: 문교부 발행 과학기술용어집(의학편 I, II집)이 출간되었다(12월 15일). 1966년 문교부는 중고교 교과서 편찬과 관련하여 과학용어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의학 분야 특히 내과 소아과분야 위원들이 열의를 다하여 한 것으로 ‘과학기술용어집’이라 하였으나 의학편 만이 출간되었다. 여기에서는 의학용어 전반에 걸쳐 1만7천여 어휘를 다루었고 I집은 영한(알파베트순)이고 II집은 한영(가나다순)으로 되었다.


(3) 1977년: 대한의학협회발행 의학용어집(제1집)이 출간되었다(11월5일). 1976년 7월1일에 의협에 의학용어제정심의 위원회가 설치되어 의학용어의 심의, 개정, 신조, 정리, 그리고 통일을 꾀하도록 하였으며 이 기구가 탄생되어 1년여만에 용어집이 나오게 되었다. 이는 특히 의료보험수가와 관련되어 개원의들의 다급한 요망에 따른 심의위원들의 단기간의 집중적 노력의 결과였다. 각 학회로부터 수집된 용어 약3만5천개 중에서 우선적으로 임상적인 것으로 논란이 별로 되지 않을 것을 선택하여 약 2만개 낱말을 수록하였다.

(4) 1978년: 정부의 용역 연구로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용어제정심의위원회에서 발행한 과학기술용어집(제2집 의학편)이 출간되었다(8월30일). 1972년 8월에 구성된 심의위원회에서 용어제정 및 정화의 기본방침 및 채택범위가 결정되었다. 제1집은 의학을 제외한 과학기술용어집으로 1975년 7월31일 발간되었고 총 53개 부문에 13만 용어가 수록되었다. 그 다음에 의학 분야(제2집)를 위해 1975년 6월에서부터 의학 분야의 각 부문 간 중복용어와 과학기술용어집 제1집 기초의학과의 중복용어를 배제하고 나머지 용어들을 통일화하는 작업을 하여 1978년 8월 과학기술용어집 제2집(의학편)을 발간하였고, 여기에는 25개 부문에 13만 3천 용어가 수록되어 있다.

(5) 1983년: 대한의학협회에서 발행한 영한, 한영 의학용어집 제2집이 출간되었다(5월30일). 1978년부터 제2집 작업을 시작하였고 24개 분과학회에서 약 200명이 참가하였으며 각 학회에서 수집되어 들어온, 즉 심의를 위촉해서 들어온 16,000 용어와 의학용어집 1집에서 나온 2만 용어를 합해서 약 4만 표제어가 수록된 용어집이 출간되었다. 그리고 제1집에서는 시간 관계로 할 수 없었던 한영(韓英)편과 약자(略字)를 추가하였다. 의학용어집과 이미 발간된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용어집은 각각 그 위원회가 달랐는데 의협용어위원회는 서울의대의 전종휘 교수가 위원장이었고 과총용어집은 서울의대 나세진 교수가 위원장이었다.

(6) 1992년: 대한의학협회에서는 그동안 발간된 의학용어와 관련된 모든 자료, 즉 의협용어집 제2집, 과기총용어집(의학편), 해부학용어집을 포함한 분과학회에서 발간한 용어집 등을 총 정리하여 13만 여개의 용어를 수록한 용어집을 발간하였다(5월25일). 대한의학협회는 의학용어집 제3집을 편찬함에 있어 각 전문가 집단(분과학회)의 의견을 존중하고 용어심의과정을 전산화함으로써 다음 개정판 편집제작에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한 가지 개념이나 실물을 서로 다른 우리말 용어로 표기하고자 강력하게 주장하는 대립된 의견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모두 수용하기로 하고, 용어를 각 전문 학술분야별로 분류하여 이후 다듬는 작업을 해당 분과학회가 담당 토록하고 의협 용어위원회는 조정역할을 하도록 했다.

(7) 2001년: 의학용어집 4판이 출간되었다. 대한의사협회 용어위원회는 1993년부터 각 학회와 용어세미나를 가지는 한편 남북한 용어에 대한 비교검토를 하고 ‘남북한 의학용어’를 1996년에 발간하였다. 의학용어집 4판에는 해부학회가 발행한 해부학용어를 대폭 수용하였고, 그중 상당수는 권장용어로 채택하였다. 그뿐 아니라 어려운 한자식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대대적으로 수행하였다. 실무위원회는 모든 분야가 공통으로 쓰는 기본의학용어 약 5000개를 선택하여 이에 관한 워크숍을 각 분야 용어위원회와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동안 써왔던 한자의 병기를 완전히 배제하였고, 또 제3집에서 부여 하였던 학문분야명을 모두 삭제하였으며 인명유래용어(eponym)도 거의 완전히 배제하였다. 무엇보다도 용어의 나열방식을 그동안의 용어집 형식에서 사전형식으로 변경하였다. 거의 혁명적 개정작업 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분과학회와의 마찰도 있었으나, 의사국가 시험과 전문의 시험 등에서 적극 반영됨으로서 준강제성을 띠게 되었다. 그리고 그동안 제1집, 제2집, 제3집으로 발행하던 것은 넷째 판으로 이름을 고쳤다.

(8) 2006년: 의학용어집 4판이 출간된 후 대폭 개정된 용어집에 대한 찬반 논란이 상당히 있었다. 따라서 용어위원회에 서는 제5판이 출간되기 전에 제4판 용어집에서 논란이 된 용어들, 다빈도 용어 그리고 의사국시에 출제된 용어 약 11,000개를 선택하여 이를 ‘필수의학용어집’이란 이름으로 발간하였다(2006.1.2). 판수를 바꾸지 않고 발행하였으나 그 내용으로 보아 4.2판이나 4판의 보완 판의 성격을 지녔다. 의협의 용어심의기구가 용어심의위원회와 용어심의실무위원회로 이원화하여 운영되던 것을 용어위원회로 통폐합함으로서 용어위원회의 10명의 위원들이 2001년부터 거의 5년에 걸쳐 개개용어를 모두 축조심의 하였다는 점에서 그들의 노고가 돋보였지만, 위원회를 자문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기구가 없어 공청회나 분과학회에서 제기된 의견들이 충분히 수용되지 못한 점이 유감이었다.

(9) 2009년: 의학용어집 5판이 발간되었다. 4판이 출간된 후 의료계 전반은 물론 특히 해당 전문학회에서 익히 쓰던 용어를 갑자기 바꾼 것에 대한 지속적인 이의 제기와 반발로 깊은 혼란에 빠졌다. 특히 1,2,3집을 통해 오랫동안 사용하던 용어를 4판 용어집에서 탈락시키고, 또 처음 보는 용어를 제1용어로 등재하였다는 점에서 크게 비판을 받았고, 따라서 결구 기존에 쓰던 용어를 다시 용어집에 재 등재하고 4판 용어와 그 전에 쓰던 한자용어를 병기하여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기본적으로 5판 의학용어집의 특징이다.

그러나 하나의 영어 용어에 대한 우리말 의학용어가 두 가지 이상 있다는 것이 의학용어 표준화에 역행하는 일일뿐 아니라 정무에서 고시한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진단 용어와 보건복지부 심사평가원에서 고시한 의료행위용어가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고시 내용에 있는 용어는 고시내용에 따르게 되어있기 때문에 현재 의학용어는 상당히 표준화 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