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제근 교수님께서는 지난 2014년 10월 24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추계학술대회의 plenary session 연자로 참석하셔서 "의학용어발전사, 그리고 향후 전망"이란 제목의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한 달 후 고인이 되셨습니다. 이 특강 내용을 3부로 나누었는데, 소개하는 것은 세번째 부분입니다.  

들어가면서
제1부 우리말 의학용어의 발전사
의학용어집의 연대별 편찬과정

제2부 우리 의학용어 정책의 현황과 방향
1) 의학용어의 기원과 발달과정
2) 의학용어의 표준화 정책
3) 우리나라의 의학용어 정책

제3부 우리 의학용어의 전망
1) 우리나라 의학용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바람직한 표준화 방향
   1) 의학용어에서 전문용어와 일반용어를 구분해야 한다.
   2) 우리말 의학용어의 기원인 한자(漢字)를 배척해서는 안된다.
   3) 외래어와 외국어의 우리말 표기방법을 빨리 통일해야 한다.


3. 우리 의학용어의 전망

1) 우리나라 의학용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의학용어란 우리말로 된 의학용어를 말한다. 그러나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의학용어는 기본적으로 서양의학 용어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나라 의학용어란 서양의학용어의 한국어 대응어이다. 그래서 아직까지의 모든 우리말 의학용어사전 혹은 의학용어집은 모두 영어 용어가 표재어가 되고 한국어는 대응어 혹은 번역어로 배치하고 있다. 그동안의 용어에 대한 논란도 용어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고 우리말 대응어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 집중되었다.

그렇다면 순수 우리말 의학용어는 없었나? 인정하기 싫겠지만 전통의학이나 한의학을 제외한 현대 의학적 입장에서 우리나라 의학용어는 없었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우리는 이 사실을 간과해서는 않된다.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머리아픔, 배아픔, 구역질, 설사, 가려움, 홧병, 등을 우리말 의학용어라고 한다면 부인 할 수는 없겠지만, 전문의학용어에 있어서는 비슷한 것도 찾을 수 없는데 그것은 우리에게는 현대의학의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대의학에 관한 개념이 전무했던 것은 우리나라뿐이 아니었다. 중국과 일본도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 세 나라 중에서 가장 먼저 주도적으로 서양의학을 받아드리고 영어용어에 대한 대응어를 만든 것은 중국이 아니라 일본이었다. 1800년도 초반에 유럽의학을 직수입한 일본은 서양의학 용어의 기원이 된 그리스어와 라틴어 대신 한자를 풀이하여 용어를 창작하였다. 한자(漢字)의 탁월한 조어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사업이었다고 생각한다.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등 한자문화권의 대부분 나라들이 쓰는 의학용어는 대부분 이때 만들어졌다. 모든 사람에게 너무나 익숙한 신경(神經)은 ‘nerve’에서, 동맥(動脈)은 ‘artery’, 그리고 세포(細胞)는 ‘cell’에서 만들어졌다. 여기서 ‘신경’, ‘동맥’, ‘세포’는 한자가 없으면 개념형성이 되지 않는 철자의 나열에 불가하다. 요컨대 우리말 전문의학용어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영어의학용어에서 그리스어나 라틴어가 가지는 의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용어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잊어서는 안될 사실이다.


2)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바람직한 표준화 방향

대한의사협회 용어위원회에서는 1970년 이래 각 분과학회의 적극적 참여하에 우리나라 의학용어를 정비해 왔다. 물론 시작은 영어용어에 대한 일본식 한자어로된 대응어를 놓고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일본의 한자용어는 그대로 수용되었고, 우리언어 체계에 부합하지 않거나 한자가 일본식이어서 우리에게는 적당치 않은 것들을 수정 보완하는 한편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넣으면서 의학용어집 초판(1977)에서 시작하여 20여년에 걸쳐 2009년에 5판이 발간되었다. 이와 같은 일본용어의 대폭적 수용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 대만은 물론 북한도 같은 입장을 취했다. 그만큼 일본의 학자들이 심혈을 기울여 과학적으로 만들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것이 동양의 공통어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기본용어가 한자(漢字)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전체적으로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비작업이 진행되어 점차 정착단계에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의학용어의 정비 방향을 놓고 적잖은 갈등과 시행착오가 있었다. 갈등은 그동안 써오던 한자가 기본이 된 의학용어를 그대로 쓰면서 정착시키자는 기존의 입장에 반대하여 한자식 의학용어는 우리 의학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한자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물론 토박이 한글로 고칠 수 있는 것은 모두 고쳐서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학용어를 바꾸자는 혁명적 입장이 대두되면서 시작되었다. 어려운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자는데 근본적으로 반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또 용어에 따라서는 토박이 우리말로 바꾸어도 학술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것도 있기 때문에 이런 주장에 대한 의학계의 공식적인 입장이 정리되지 않은 채 엉거주춤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사태라고 판단된다. 또 한 가지 유념할 것은 근래에 와서 영어용어가 많이 사용 되면서 일반인들 까지 영어의학용어를 익숙하게 사용할 뿐 아니라 의료인들도 우리말 용어 대신 영어용어를 그대로 쓰는 경향이 해가 갈수록 심해져서 외래어 표기를 어떻게 하는가도 대단히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생각할 때 나는 지금이야 말로 확실하게 방향을 정하고 우리나라 의학용어에 대한 정책을 펼 때라고 생각하며, 1976년 이래로 2009년 지금까지 의학용어와 과학기술 용어의 정비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온 입장에서 나의 의견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는 바이다.

 

1) 의학용어에서 전문용어와 일반용어를 구분해야 한다.

의학용어 중에서 일반인들과 함께 널리 쓰고 있는 용어가 많이 있다. 머리, 가슴, 배, 팔다리, 젖통, 사타구니 등의 해부학적 용어 뿐 아니라 두드러기, 언청이, 지랄병, 토사광란, 황달, 욕지기 등 병적 용어도 있다. 염통, 콩팥, 지라, 밸 혹은 창자, 오줌보. 땀, 침 등도 오랫동안 써오던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환자와의 소통을 위해서 필요한 용어이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전문용어와 함께 일반용어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 같이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구순(口脣)을 입술, 심상성 좌창(尋常性 瘡)을 보통여드름, 담마진(蕁麻疹)을 두드러기, 오심(惡心)을 구역, 골조송증(骨症)을 골다공증 등의 기존용어는 이미 새 용어로 바뀌었거니와, 신장(腎臟)과 콩팥, 구개(口蓋)와 입천장, 장(腸)과 창자 등은 전문어와 일반어로 같이 쓰도록 하는 것 등이 그동안의 용어정비작업의 내용이다.

이와같은 전문용어와 일반용어를 구별하는 경향은 영어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예컨대 ‘dextral’, ‘sinistral’로 써오던 오른(우)과 왼(좌)이 일반용어화 하여 ‘right’와 ‘left’로 바뀐 한편 전문용어로서는 ‘dextrocardia(우심증), levophobia(좌공포증)’등으로 남아 있고, ‘hysteria’가 워낙 ‘자궁’이었으나 현재 자궁은 ‘uterus’로 쓰면서 전문용어로 ‘hysterectomy(자궁절제술)’를 쓰고 있는 것과 같다. 이와같이 영어권 사람들이 그리스어나 라틴어에 기원을 둔 용어를 영어가 아니고 어렵다는 이유로 심장염을 ‘carditis’대신 누구나 알 수 있도록 ‘heartitis’로, 혹은 간염을 ‘hepatitis’대신 ‘liveritis’로 바꾸지 않았다. 이렇게 한 이유를 우리는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도 ‘kidney’는 ‘신장’과 ‘콩팥’을 전문용어와 일반용어의 차원에서 같이 쓰되, nephritis를 신장염(腎臟炎) 대신 ‘콩팥염’이라고 하든지 pyelonephritis를 ‘신우신염’ 대신 ‘콩팥깔때기염’ 등으로 바꾸려는 어리석음을 보여서는 안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ataxia’의 ‘운동실조(運動失調)’가 어렵다고 ‘조화운동못함증’으로, 또는 ‘무뇌증(無腦症)’을 ‘뇌없음증’ 등으로 바꾸는 것은 전문용어와 설명어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다.

요약컨대 한가지 영어용어에 대한 우리말 전문용어는 한가지로 통일하여야 한다. 예컨데 ‘신장’과 ‘콩팥’을 같이 쓰되 공식 의학학술용어는 ‘신장(腎臟)’ 하나로 통일하여 관련된 파생용어에 혼동을 없애야 하며, 이것을 초중등학교 교과서로부터 시작하여, 전문학술지, 단행본, 논문, 공문서 등에서 일관되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2) 우리말 의학용어의 기원인 한자(漢字)를 배척해서는 안된다.

미국이나 영국, 그리고 유럽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그들 언어의 기원인 라틴어를 필수로 배우는 것은 그것이 말을 배우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일반용어도 이렇거늘 전문학술용어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우리는 우리의 아름답고 자랑스러운 한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글은 과학을 기술하고 표현하기에 원천적 제한이 있다. 즉 한글은 학술용어에 관한 조어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다행이 우리 선조대부터 써오던 한자의 탁월한 조어력에 힘입어 의학용어를 터득할 수 있었고, 또 앞으로 한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예컨대 trigeminal nerve는 삼차신경이다.

‘삼차(三叉)’를 한자로 아는 사람은 ‘trigeminal’의 뜻을 짐작할 수 있으나, 그 뜻을 모르거나 ‘삼차(三次)’로 잘못 아는사람은 이해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할 것이다. 또 몸속의 빈 공간을 의미하는 강(腔)을 알면 복강(腹腔, peritoneal cavity)이나 흉강(胸腔, thoracic cavity), 혹은 사강(死腔, dead space)의 의미를 쉽게 알 수 있으나 한자를 모르면 ‘강’자가 어렵게 느껴지고 따라서 ‘배안’이나 ‘가슴안’, 혹은 ‘죽은공간’ 등으로 바꾸자는 의견을 내게 될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서양의학을 직수입하지 못하고 일본을 통하여, 그것도 식민지 통치기간에 집중적으로 거의 강제로 도입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자의 종주국(宗主國)인 중국도 거의 완전히 일본에서 만든 용어를 수용한 이유와 과정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정도로 일본에서 만든 용어가 잘 되었고 한자를 기본으로 하였기 때문에 보편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자용어=일본식용어 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일본이 한자문화권을 대표하여 이렇게 중요한 작업을 국가 주도로 수행한 것이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한국, 중국, 일본이 같은 용어를 쓸 수 있게 된 것은 오히려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대한해부학회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해부학용어집 3판을 발행하면서 갑자기 이전의 1판, 2판에서 병기하던 한자를 완전히 배제 한 채 순수 한글화하는 작업을 모든 해부학용어에 일괄적으로 적용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용어를 바꾸면서 이행장치를 두지 않은 것도 혼란을 야기하기에 충분했다. 예컨대 견갑골에 있는 오훼돌기(烏喙突起, coracoid process)를 ‘부리돌기’, 상의세포(上衣細胞, ependymal cell)을 ‘뇌실막세포’, 등으로 바꾼 것은 수긍이 가지만 흉선(胸腺, thymus)을 ‘가슴샘’, 자궁경부(子宮頸部)를 ‘자궁목’, 삼각골(三角骨)을 ‘세모뼈’로 바꾼 것 등은 수긍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같은 토박이 한글화 주장은 하나의 전문학회가 발간한 한번의 판(版)에 국한된 것이지만 해부학 용어가 가지는 일반성과 중요성 때문에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적어도 의학사전이나 용어집 수준에서는 한자로 표시할 수 있는 우리말 의학용어는 원칙적으로 모두 한자(漢字)를 병기(倂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일반 의학 논문에서도 혼동될 수 있는 용어는 괄호안에 한자를 병기하는 것이 용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요약컨대 적어도 의학분야에서는 영어권 사람들이 해오는 것 같이 의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전문용어를 지키기 위하여 결코 한자를 배척해서는 안되고, 오히려 한자를 가까이 함으로써, 한자용어를 통해 일본과 중국 등에서 한자로 발간되는 수많은 귀중한 서양의학 문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할 수 있다고 믿는다.



3) 외래어(外來語)와 외국어(外國語)의 우리말 표기방법을 빨리 통일해야 한다

외래어와 외국어 표기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과 다른 위치에 있다. 즉 우수한 한글을 이용하여 우리에 맞는 표기를 이상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외래어(外來語)를 정함에 있어 일본은 구태여 한자어로 대응어를 만들 필요가 없거나 만들기가 어려운 것은 주저하지 않고 외래어로 받아들이되 외래어임을 구별하기 위해 가다가나(片假名)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 철자의 성격상 발음나는대로 표기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 예컨대 coffee를 ‘커피’라는 표기가 되지 않아 ‘고히’로 할 수 밖에 없으나, 그들은 이것은 외래어로 정해놓고 ‘커피’라고 발음을 할줄 알면서도 ‘고히’로 통용하고 있다. 이와는 정 반대로 중국은 어떤 어려운 용어나 발음이라도 예외 없이 중국식 한자로 표기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즉 한글의 우수성에 힘입어 외래어나 외국어를 원어의 발음에 아주 가깝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처음 받아들인 의학과 관련된 외래어가 독일식 의학용어였기 때문에 초창기 외래어의 대부분은 독일어식 발음으로 되었다. 예컨대 알레르기(allergy), 비타민(vitamin), 디아스타제(diastase), 글리코겐(glycogen)등 이다. 이들은 오랫동안 의학용어로 굳어진 외래어이지만, 이제 와서는 영어식 발음, 즉 앨러지, 바이타민, 다이어스테이스, 글라이코전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일부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영어식 발음이 올라와 있다. 다시말하면 외래어 표기가 통일되지 않았다. 외래어는 다른 학술용어와 같이 일단 정해지면 편의에 따라 함부로 변경되어서는 안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책이 확정되어 있지 않아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현실이다. 지금이라도이에 관한 일관된 입장이 마련되고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외국어의 한글표기는 사람마다 다르게 표기하고 있어 그 혼란은 극에 달하고 있다. Television의 우리말 표기가 6가지가 넘고, apoptosis에 대한 우리말 표기도 ‘얘포푸토시스’를 위시하여, ‘에이포토시스’, ‘에이포프토우시스’ ‘애포토시스’ 등 수없이 많다. 이와같은 현상은 교육적 견지에서 결코 바람직 한 것이 아니며 하루 빨리 하나로 표준화되어야 한다.

요즘같이 의학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또 새로운 용어가 많이 생겨나는 시점에서, 또 영어가 세계 의학 공통어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입장을 확실히 정해야 한다. 나 자신은 우리말 대응어를 찾거나 만드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억지로 우리말 대응어를 만들지 말고, 원어를 발음대로 그대로 받아들여 외래어로 확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의학용어를 정비하면서, 영어의 dystrophy에 해당하는 우리말 용어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함을 느꼈다. 이영양증(異營養症), 퇴행위축(退行萎縮)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해보다가 결국 ‘디스트로피’로 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또 다른 예로 goiter를 ‘갑상선종’이라고 하고 있은데 이는 thyroid adenoma와 같은 대응어이다.

실제는 선종이 아니고 단순한 갑상선비대와도 다르다. 따라서 그대로 ‘고이터’라고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외래어의 수용을 일본 만큼 심하게는 아니더라도 신속한 소통을 위해 학술용어에서 외래어를 많이 늘이는 것이 자주 사용되지도 않고 뜻도 잘 통하지 않는 대응어를 만들기 위해 소비하는 노력에 비해 실익이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외래어나 외국어 우리말 표기 방식은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용례집을 대폭 확장 개편하여 분야별로 누구나 쉽게 참고하고 따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맺음말

100여 년 전 근대의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고유의 현대의학은 자라날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우리 의학용어도 발전할 기회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광복 후 바로 시작했어야 했던 우리말 전문용어 제정 작업은 광복 후 사회혼란과 한국전쟁 때문에 1960대에 들어서야 겨우 시작되었다. 이 중 의학용어는 정부의 부분적 지원과 각 전문학회와 대한의사협회의 노력으로 꾸준히 다듬어져 왔다. 다듬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도 있었다. 그러나 대한의사협회와 분과학회들은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옳은 방향으로 용어 다듬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음은 우리 의학계 의 자랑이다.

의학은 과학의 한 분야이다. 따라서 의학용어는 자연히 일반 과학기술 용어와 연계되고 또 서로 보완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여기서 기술한 바람직한 표준화 방향은 의학용어뿐 아니라 전체 과학기술 용어에도 적용될 것이다. 지금이 야 말로 우리나라 과학계가 힘을 모아 국립국어원, 교육과학부, 보건복지부, 통계청 등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미래 지향적인 전문용어의 표준화 방향을 확정하고 이를 일사불란하게 추진할 수 있는 적기(適期)라고 생각한다. 한편 의학계는 책임감을 갖고 보편타당하고 의업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훌륭한 의학용어를 정착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조선의사협회: 조선의보, 1930-1937.
2.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용어집(제2집), 1978.
3. 대한의학협회: 의학용어집, 제1집, 제2집, 제3집, 넷째판, 1977, 1983, 1992, 2001.
4. 대한해부학회: 해부학용어, 계축문화, 1990.
5. 대한의사협회: 남북한 의학용어, 아카데미아, 1996.
6. 대한의학협회 필수의학용어집, 2005.
7. Dorland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0th ed. Saunders, 2003.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