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년간 종합병원 봉직의로서 일하다보면 전공의선생님들에 대한 불만을 많이 듣는다. 환자들에게서도 듣고 간호사들에게 듣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물론 간호사들은 사정을 모르지는 않기 때문에 완곡하게 표현하기는 하나, 어쨌든 환자에게서나 간호사에게서나 대개는 의학적 처치 및 결정에 대한 것보다는 태도에 관한 불만이 많다.

그런데 되돌아보면 나 역시 그런 의사이기는 했다. 그래서 그들에게 ‘환자와 동료의료진을 대하는 태도를 고쳐보도록 해라’고 쉬이 말할 수가 없다.

환자를 위해 열심히 이것저것 챙기고 찾아보고 해도 돌아오는 건 편의점 직원을 대하는 태도와 그리 다르지 않다. 간호사들에게서 들려오는 밑도 끝도 없는 보고들은, 사실 보고라기보다는 ‘책임지라’는 말로 들린다. 잘 모르는 콜은 우선 짜증이 나니까 대충 처리하거나, 신경질 한판 부린 다음에 책을 찾아보며 나의 무식함을 실감하면 또 다시 짜증이 나기 십상이다.

나도 그랬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한다. 아마 그 시기를 견뎌낸 힘은 ‘그래도 이 시기를 끝내면 뭐라도 되겠지’란 막연한 기대었다. 물론 어느 대학의 교수가 된다거나, 구체적인 연봉을 상상하진 않았지만 지금보다는 사람답게 살 수는 있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

그나마 조금 더 사람답게 살 수 있는 3년차 전공의가 되면서 비로소 인간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던 것 같다.

환자가 나의 짐이 아니라 내가 돌봐야 할 대상으로 보이기 시작하고, 환자들이 얼마나 답답하고 괴로운 상황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신규간호사들은 마치 병원에서 부정적인 감정의 하수구 역할을 해야 하는 처지란 것도 보이기 시작했다.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당직을 서는 생활을 하면 누구나 그 정도는 볼 수 있다. 하지만 만약 365일 당직을 서고, 만성적인 수면부족의 상태에서 누군가를 배려하라고 한다면 지켜지기 쉽지 않다.

의사는 공감능력이 좋아야 한다고 말하곤 한다. 실제로 사람들은 좀 더 환자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의사를 원한다.

그런데 신체적 정신적 결핍상태에 놓여있는 사람에게도 공감을 요구하는 것은 사실 잔인한 일이다. 전공의들에게 일상이란 일단 기본적인 생존의 조건(식이, 휴식, 수면)이 박탈된 상태에서 오늘도 큰 사고 없이 지나가는 것이 목표일뿐이다.

이를 위해서 온 신경을 집중해서 살아가는 것이 그들의 삶인데, 이해, 공감, 배려 등이 들어설 자리가 있을 수 있을까. 전공의들이 사고를 피하고자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병원에는 종종 사고가 난다. 우리 의료의 비참한 현실이다.

3월 12일에열린 전공의특별법 공청회 (C) 청년의사신문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전공의의 수련 및 근로기준에 관한 특별법안’을 준비중이란 소식을 들었다. 주 최장 64시간의 근무시간은 솔직히 지금 상황에선 달성 가능한 목표처럼 보이진 않는다. 사실 이전 수련규정에 명시되었던 80시간도 얼추 짜 맞춰 기형적인 근무시간표를 만들었다는 것은 아는 사람은 다 알지 않나.

수련규정에 맞춰서 근무시간표를 제출하라는 압력은 보건복지부로부터, 대한병원협회로부터, 병원 집행부로부터 아무런 지원책이 없는 상태로 덜렁 떨어졌다. 그것을 받아 안은 지도전문의와 교수들은 본인이 작성하던지 전공의들에게 떠넘기던지 둘 중 하나의 선택밖에 없었고 대부분 후자를 택했다. 나 역시 일부는 괴로워하며 없는 시간을 짜내어 엑셀파일을 두들겨 내었고 일부는 전공의들에게 떠넘길 수밖에 없었음을 고백한다.

전공의특별법의 시행과정이 이런 문제를 다시 발생시키지 않으려면 부족한 인력을 보강할 수 있는 비용에 대한 지원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행히 전공의특별법에는 정부가 수련비용을 지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근거와 규모를 정하는 것이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자칫 유야무야될 수도 있는 부분인 것 같다.

건강보험공단에서 수련비용을 지원할 것인지, 정부예산에서 지원할 것인지 명분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향후 지속적으로 특별법 제정과 시행과정을 지켜보아야 하는 이유다.

어린 시절 학대받은 아이는 그 트라우마로 인해 학대를 하는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슬픈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의사들의 메마른 감성과 소진에는 이러한 수련시절 학대에 가까운 비참한 생활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아닐까.

이런 생활을 겪은 전공의들이 전인적인 진료를 펼치는 좋은 의사가 되려면, 공감능력을 키우는 것에 좀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할 수밖에 없다. 만약 그들이 수련과정에서 좀 더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제때 식사를 하고 잠을 잘 수 있다면, 피할 수 있는 의료사고는 좀 더 줄어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입장을 생각해볼 수 있는 공감능력을 갖춘 의사로 자라날 것이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