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뼛조각 방치하면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시달릴 수 있어 적극적 치료 필요

발목에 뼛조각이 남아 생기는 일명 '비골하부골'이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은 반복적으로 발목 염좌가 발생하는 증상으로 관절의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염좌는 일상에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늘어난 인대는 보통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데 증상이 심하거나 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복원되면 발목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결국 같은 부위를 계속해서 다치는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에 이를 수 있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이동연 교수 연구팀은 보존적 치료를 받아온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환자 2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환자 3명 중 1명은 비골하부골이 관찰됐다. 비골하부골은 인대가 손상될 때 함께 떨어져나갔지만 회복과정에서 봉합되지 못한 뼛조각이다. 또 관찰된 뼛조각의 80%는 타원형이었으며 크기도 비교적 컸다.

이에 발목에 뼛조각이 발견되면 적극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특히 형태가 타원형이거나 크기가 크다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더 높은 만큼 보다 적극적 치료를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이동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발목 불안정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상당수에서 뼛조각이 발견됐고, 형태에 따라 보존적 치료보다 적극적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소아청소년기에 발목 외상이 생기면 뼛조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석고 고정 등 적극적 치료가 권장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족부족관절정형외과 공식 학회지 ‘Foot and ankle international’ 2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