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산모 늘면서 철저한 산전검사와 임신 중 혈당관리는 필수

산모의 건강은 태아 건강으로 바로 연결된다. 임신 중 산모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면 엄마에게 영양분을 공급받는 태아도 혈당이 높아진다. 우리나라 전체 임신부 중 약 2~5%는 임신성 당뇨병을 앓고 있다. 결혼 평균 연령 상승에 따른 고령 산모의 증가가 원인이다.

임신 중엔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진다. 이는 혈당 조절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정상 산모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촉진을 통해 극복한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산모는 혈당이 높아져 임신성 당뇨로 진행된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기에 해당하는 24~38주 산전 검사를 통해 진단되지만 대부분 특별한 증상은 없다. 하지만, 임신성 당뇨가 위험한 이유는 산모의 혈당 상승이 태아의 혈당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임신성 당뇨는 태아에게 바로 영향을 미친다. 우선 4kg 이상 거대아 출산 가능성이 높아진다. 출산 후에는 태아 저산소증과 대사성 합병증 등도 생길 수 있다. 태아의 머리나 다리의 길이보다 복부의 크기가 더 커져 있는 경우가 많다.

거대아와 함께 신생아 저혈당, 산모의 추후 제2형 당뇨병 등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여기에 임신성 당뇨가 태아의 신경 발달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미국 대학병원에서 1995년부터 15년 간 태어난 30만 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신성 당뇨 산모의 아이는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의 결함을 보이는 아동기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을 가질 확률이 1.42배 높았다.

이는 자궁 내 혈류의 높은 혈당이 태아의 저산소증, 산화적 스트레스, 염증 등을 유발해 발생하는 것으로 의학계는 보고 있다.

또, 임신성 당뇨로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은 산모의 아이는 주의력이 부족하고 과다행동, 충동성을 보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질 위험이 1.5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이슬기 교수는 “산모의 임신성 당뇨 여부와 혈당 조절이 태아의 신경 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분석연구는 계속되고 있다”며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정기적인 산전검사와 임신성 당뇨 진단 시 철저한 혈당관리를 통해 전자간증, 양수 과다증 위험을 최소화하고 각종 합병증 예방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