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환자 7~9월에 집중…여름에 모기 물리지 않게 특히 주의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기온이 올라가는 여름에 발생하기 쉬운 감염병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여름철 7~9월에는 모기로 감염되는 말라리아가 집중 발생 시기로, 연간 환자의 절반가량이 이 시기에 생긴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첫 말라리아 감염모기가 지난 1일 확인되면서 방제를 강화하고 예방수칙을 권고하는 등 조치에 나서고 있다.

1963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말라리아는 퇴치사업 추진으로 사라졌다가 1993년 다시 국내에 출현해 매년 400~6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포털에 따르면 15일 기준으로 올해 국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모두 153명으로 집계됐다.

말라리아는 ‘플라스모디움(Plasmodium)’이라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돼 발성하는 급성 열성질환이다. 말라리아 원충은 얼룩날개 모기류에 속하는 암컷 모기에 의해서 전파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얼룩날개 모기 암컷이 말라리아 원충을 전파시킨다.

국내에는 삼일열 말라리아가 주로 휴전선 접경지역인 인천‧경기·강원 북부에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환자의 90%가 발생하고 있다.

말라리아의 전형적인 증상은 발열과 권태감이다. 서서히 상승하는 발열이 초기에 수일간 지속되고, 두통‧구역‧설사 등을 동반한다. 48시간 주기로 오한‧고열‧발한‧해열의 열발작이 반복된다. 춥고 떨린 후 체온이 상승하는 오한기가 먼저 나타나고, 피부가 고온건조해지고 빈맥‧빈호흡 등을 보이는 발열기가 3∼6시간 이상 지속된 후 땀을 흘리는 발한기로 이어진다.

치료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증상은 일주일에서 한 달 간 지속된다. 어린이나 고령자, 면역부전환자 이외의 사람에게서는 중증으로 진행되지 않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완치할 수 있다.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말라리아는 백신이 없어 해외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항말라리아제 등의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라별로 유행하는 말라리아의 종류가 다르며 치료약에 대한 내성 정도가 다르므로 전문의에게 처방받아 복용해야 한다. 국내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여행할 때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야간에는 외출을 가능한 삼가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는 모기를 유인하는 어두운 색 옷은 피하고 가능한 밝은 색의 긴 소매 상의, 긴 바지를 착용하여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모기 기피제를 바르거나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말라리아 증상이 의심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 먼저 신속진단키트검사(RDT Kit)를 통해 15~20분 내에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말라리아 원충의 종을 감별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양성이 나오면 추가검사를 실시해 확진해야 한다.

GC녹십자의료재단 전유라(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말라리아 초기증상은 발열과 오한 등으로 코로나19 초기증상과 유사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며 “말라리아 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방문한 뒤 의심증상이 있다면 바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