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독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쇼크사 위험…알레르기 검사 미리 받는 게 좋아

소방청은 여름철 벌 쏘임 사고를 줄이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벌 쏘임 사고 예보제’를 시행한다.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사람들의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7~9월까지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2017∼2019년 벌 쏘임 사고로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는 모두 1만6,751명이었다. 이 가운데 7∼9월 발생 환자가 76%(1만2,483명)를 차지했다.

벌에 쏘이면 해당 부위만 붓고 아픈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몸 전체에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혈관부종이 생기거나 얼굴이 붉어지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 위경련이나 자궁수축, 설사가 일어날 수도 있고 인‧후두 기도 위쪽이 부으면서 쇼크가 일어나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인체 면역 체계와 알레르기 반응에 따라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의 편차가 다르다. 우리 몸에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을 인식하는 ‘비만세포’가 있다. 비만세포가 항원을 인식하면 백혈구 등 항원과 싸울 수 있는 세포들을 불러들이는 ‘히스타민(Histamine)’을 분비한다. 이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늘리고 상처 부위에 부종과 통증‧가려움증을 유발한다.

벌독 알레르기 환자가 벌에 쏘이면 과다한 히스타민 분비로 혈액이 지나치게 빠져나와 혈압이 떨어지고 몸이 붓는 등의 부작용이 일어난다. 부작용이 심해지고 적절한 응급조치가 없을 경우 쇼크사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반적인 반응보다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을 '아나필락시스 반응(Anaphylaxis reactions)'이라고 한다.

벌독 알레르기는 대표적인 곤충 알레르기다.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이다. 가까운 병의원 내과나 가정의학과를 찾아가면 벌독 알레르기 여부를 검사받을 수 있다.

‘이뮤노캡 벌독 알레르기 검사’가 대표적이다. 벌독 알레르기 환자들은 꿀벌‧말벌‧땅벌 등 특정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인다. ‘벌독 항원 검사’를 통해 벌독 알레르기 유무와 어떤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가 있는지도 확인 가능하다.

벌독 알레르기 환자는 벌에 쏘이지 않는 게 예방이다. 벌이 많은 지역의 방문을 가급적 삼가고, 등산이나 벌초 등을 갈 때는 더 주의해야 한다. 벌을 자극하는 향수‧화장품‧스프레이 사용을 자제하고, 벌이 있는 곳에서 뛰거나 빨리 움직여서 벌을 자극하지 말아야 한다. 집 주위에 벌집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제거하는 게 바람직하다.

벌에 쏘인 후에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했던 환자들은 다시 한 번 벌에 쏘였을 때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하게 될 확률이 75% 이상이다. 벌독 알레르기 응급치료법은 심장박동과 호흡수를 늘리는 에피네프린을 허벅지에 주사하는 것이다. 현행법상 구급차에서 응급구조사가 에피네프린을 투여하는 건 불법이기 때문에, 벌이 걱정되는 장소를 가야할 경우 사전에 병원에서 에피네프린 주사나 항히스타민제 등 비상 응급약을 미리 처방받아 소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GC녹십자의료재단 권애린(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벌독 알레르기가 의심된다면 의료기관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하고, 주의를 기울여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는 게 좋다”며 “특히 소방관이나 양봉업자 등 벌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사전에 벌독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