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조기 발견이 어려운 췌장암을 94% 확률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기술을 개발했다.

가천대길병원 외과 이두호 교수는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장진영 교수, 서울대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췌장암 진단을 위한 다중 바이오마커 패널(LRG1, TTR, CA19-9)을 이용한 예측모델 연구에서 췌장암의 조기진단 가능성을 확인했다. 췌장암 여부를 예측하는 양성 예측률, 음성 예측률, 민감도, 특이도 모두 90%를 넘었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다른 소화기질환과 비슷하다. 진단 당시 수술이 가능한 병기로 발견되는 확률이 15% 미만이다. 결국 생존율을 높이려면 췌장암을 조기진단하는 검사법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없으며 발현되는 증상은 체중감소, 황달 정도다. 췌장 기능이 약해져 식욕부진으로 체중이 감소하며, 소변이 갈색으로 변하고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보인다. 췌장암의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이나 흡연, 비만, 당뇨 등으로 추정된다. 만성 췌장염도 췌장암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기존 연구가 정상인과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진 반면, 이번 연구는 췌장양성질환, 기타 암종군이 추가돼 진행됐다. 정상군뿐 아니라 췌장양성질환군과 기타 암종군을 포함해 췌장암에 대한 진단 정확도를 더욱 면밀히 살펴볼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1∼2019년 6개 기관(서울대병원·국립암센터·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세브란스병원·이화여대병원)으로부터 모집한 총 1991개 혈액샘플을 사용해 이뤄졌다. 

연구에 사용된 혈액 샘플은 정상인군 609개, 기타 암종군(대장암·갑상선암·유방암) 145개, 췌장양성질환군 314개, 췌장암군 923개였다. 이들 샘플을 대상 3가지 다중 바이오마커(LRG1·TTR·CA19-9) 측정에는 새로 개발된 자동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가 사용됐다.

다중 바이오마커 기술의 췌장암 진단 예측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췌장암 고위험군으로 예상된 환자 중 실제 췌장암 환자라고 알려주는 양성 예측률은 94.12%였다. 췌장암 환자가 아니라고 예상됐고 실제 암 환자가 아님을 보여주는 음성 예측률도 90.40%로 높았다. 질병이 있는 환자를 검사했을 때 실제로 양성으로 보여주는 민감도는 93.81%, 질병이 없는 사람을 음성으로 나타내는 특이도는 90.86%였다.

이두호 교수는 "이번 다중 바이오마커는 실제 췌장암 환자와 기타 환자를 높은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며 "CA 19-9 수치가 정상이거나 초기 췌장암을 포함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췌장암의 진단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데 충분한 성능을 보였다"고 말했다. 

분석은 성별·나이·LRG1·TTR·CA19-9 등을 인자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통해 췌장암 여부를 예측하는 값들(양성예측률·음성예측률·민감도·특이도)을 구해 이뤄졌다. 이들 값에 대한 위험 수준은 낮음(low), 중간(intermediate), 높음(high) 등 3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두호 교수는 "췌장암의 장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까지 췌장암 진단을 위한 효과적 진단 도구 개발은 요원한 상태"라며 "다중 바이오마커가 췌장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 국제학술지 ‘Journal of Hepato-Biliary-Pancreatic Sciences’(Impact Factor of 7.027)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