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럽거나 일시적 편측마비 생기면 경동맥협착증 의심…정기검사 필요

혈관은 몸에 있는 수도관이다. 낡은 수도관에 이물질이 쌓이듯이 혈관도 내벽에 지방이나 염증세포섬유조직 등이 달라붙어 좁아진다. 이를 죽상동맥경화라 한다. 이 질환은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 등 성인병을 앓고 있거나 흡연스트레스 등과 관계가 깊다. 죽상동맥경화가 경동맥에 생기면 경동맥협착증이다.

경동맥은 목을 지나는 동맥으로 목젖 좌우 3부근에 있다. 이 부근을 손으로 짚으면 경동맥이 지나는 곳의 맥박을 느낄 수 있다.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뇌로 공급한다. 뇌로 보내지는 혈액의 80%를 담당한다. 경동맥 협착증은 경동맥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질환이다.

뇌로 혈액이 공급되는 주요 통로인 경동맥에 협착이 진행되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뇌 기능이 떨어지고 어지럼증과 신체 일부 마비‧언어장애‧시력저하 등의 신체기능 이상이 나타난다.

경동맥 협착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이 생긴다. 뇌경색이다. 경동맥 협착증과 뇌경색은 깊은 관련이 있다. 경동맥 관리를 소홀히 하면 영구적인 뇌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혈관은 50% 이상 막혀도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 경동맥 협착증이 조용한 암살자로 불리는 이유다. 초기 협착증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검사를 받는 경우가 아니면 진단이 어렵다. 증상을 발견, 치료하더라도 치료 시기를 놓쳐 이미 발생한 뇌경색으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뇌경색 가족력이 있거나 당뇨고혈압고지혈증과 심장다리에 혈관질환을 앓고 있으면 40~50세 이후에는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CT(컴퓨터 단층촬영)MRI(자기공명촬영)경동맥도플러검사 등으로 협착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경동맥 협착증 예방을 위해선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흡연은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피해야 한다.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먹고,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이 좋다.

또 저지방저염식 식단을 유지하고 하루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비만인 경우 체중 감량을, 흡연자는 금연으로 혈관 건강을 지키는 것이 협착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경과 이상헌 교수는 경동맥 협착증은 자각할 수 있는 증상이 없어 악화되는 경우가 빈번하다평소 식단 조절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혈관 건강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통해 협착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