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이비인후과 최재영 교수팀 연구
마우스 실험에서 청력 10배 향상 확인

유전자 교정 치료를 이용해 진행성 난청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던 난청치료에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재영정진세 교수와 연세대의과대학 약리학교실 김형범지헌영 교수 연구팀은 마우스 실험에서 난청 유발 유전자 돌연변이를 교정해 청력을 10배 정도 개선했다고 15일 밝혔다.

난청은 전 세계 인구의 약 5%가 겪고 있는 흔한 감각기 질환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난청으로 청력 손실 위험은 높아진다. 하지만, 현재 치료 약은 개발되지 않았다. 인공와우 임플란트 수술도 방법이 있지만, 생리적이고 자연스러운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완치보다 재활치료 개념에 가깝다.

노화성 난청은 노화와 소음 노출, 유전적 돌연변이, 약물 등이 주요 원인으로 생긴다. 소리를 감지하는 외유모세포와 시냅스기저막혈관조 등의 손상에 의해 일어난다.

이 가운데 외유모세포의 기능 유지에 칼륨 이온 채널인 KCNQ4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KCNQ4 돌연변이는 노화성 난청의 위험인자로 추정되고 있다. KCNQ4에 심각한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은 젊은 나이에 청력 손실이 진행되는 유전성난청(비증후군 상염색체우성난청2, DFNA2)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유전자 염기 변경으로 DFNA2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KCNQ4 돌연변이를 가진 마우스 모델을 생산했다. 실제 이들 쥐는 3주령부터 고주파 영역(50~70dB 수준)에서 청력이 떨어지고 7주령이 됐을 때 저주파 영역을 포함한 모든 주파수(60~90dB 수준)에서 청력 감소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을 활용해 돌연변이 KCNQ4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제거한 유전자 제거 집합체를 만들었다. 이를 아데노부속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이하 AAV)에 태워 마우스 귀에 주입했다.

AAV 주입 마우스는 7주 후 전체 주파수 영역(6~30kHz)에서 평균 20dB의 청력 개선을 보였다. 20dB의 청력 개선 효과는 소리를 10배 정도 크게 들을 수 있는 수준이다. 지하철이 통과하는 소음을 겨우 들을 수 있는 수준에서 일상 대화 소리까지 무리 없이 들을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한 셈이다.

연구팀은 또 유전자 교정치료를 통해 청력이 개선된 마우스는 손상된 외유모세포도 치료된 것을 확인했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재영 교수는 노인성 난청의 경우 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마땅한 치료법이 없는 난치성 질환이라며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한 진행형 난청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해 향후 난청 치료의 발판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팀의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IF: 11.556)’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