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이창현 교수에게 듣는 후종인대골화증 원인‧치료법

우리 몸 뼈와 뼈 사이에는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인대가 존재한다. 목 부위 경추에도 뼈 사이를 테이프처럼 이어주는 인대가 자리 잡고 있다.

후종인대골화증은 경추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종인대가 다양한 원인으로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고, 두꺼워져 척수 신경을 압박해 신경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후종인대골화종 환자는 손저림통증과 감각근력 저하로 시작해 보행배뇨배변 장애가 생긴다. 더 심하면 사지마비가 발생한다.

후종인대골화증은 경추에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목 디스크와 함께 대표 경추질환으로 손에 꼽힌다. 하지만 흔한 질환은 아니어서 발병해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후종인대골화종을 방치하면 팔다리 마비까지 이어질 수 있어 질환에 대해 제대로 알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종인대골화증의 개념과 원인치료법까지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이창현 교수에게 문답형식으로 들어봤다.

Q1. 후종인대골화종 발생 원인은?

후종인대골화증은 가족 간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높다. 유전적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기계적으로 고개를 많이 숙이는 등 목의 과사용, 또는 쌀이나 비타민A의 과량 섭취 등이 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약 갑상선 항진증과 당뇨병 등의 전신 질환이 있다면 후종인대골화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Q2. 유전질환인가? 퇴행성 질환인가?

후종인대골화증은 주로 동아시아에서 많이 나타난다. 백인은 전체 인구의 0.1~0.2% 정도에서 생기지만, 우리나라는 약 5~12%에서 발생한다.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약 100배가량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것이다.

민족적 차이가 분명하기 때문에 후종인대골화증은 유전질환으로 추정된다. 그 증거로 동아시아인의 높은 발병 빈도 남자에서 많이 발병 아버지로부터의 유전(아버지가 있으면 아들도 있을 확률 약 25%) 등이 있다.

하지만 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이 꼭 유전 때문이 아니라 퇴행성 질환(복합질환)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 이유로 주로 중년 이후 발생(40~50대 이후) 수술 후 후종인대골화증의 증식 중단 등이 있다.

Q3. 진단과 검사 방법은?

환자 증상을 토대로 후종인대골화증이 의심된다면 방사선 검사나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는 후종인대의 골화를 관찰할 수 있고,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골화된 종괴의 모양크기척수압박정도를 파악한다.

Q4. 후종인대골화증의 치료법은?

현재 후종인대골화증의 치료 방법은 수술뿐이다. 수술 방식은 앞쪽으로 하는 전방 수술과 뒤쪽으로 하는 후방 수술 두 가지가 있다. 전방 수술은 골화된 후종인대를 직접 제거하고, 후방 수술은 골화된 후종인대 자체를 제거하지는 않지만 신경이 지나가는 길을 넓히는 방식이다.

전방 수술은 보통 척수를 심하게 누르거나 몸이 앞으로 굽은 경우에만 시행한다. 후방 수술은 수술 후 후종인대골화증이 다시 자랄 수 있다. 평균 통계에 의하면 약 10년 정도 관찰했을 때, 60%의 환자에서 수술 이후 후종인대골화증이 계속 자란다.

하지만 그 60%의 환자들 가운데 후종인대골화증 증식으로 추가 수술을 다시 받는 경우는 약 8%에 불과하다. 이는 후방 수술 이후 후종인대골화증이 좀 더 자랄 수는 있지만 추가 수술이나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후종인대골화증 수술의 60~70% 정도가 후방 수술로 이루어진다.

Q5. 언제 수술하면 좋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하는 시기를 정하는 것이다. 굳은 인대가 척수를 누르면 비틀거리거나 휘청거리며 걷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넘어질 것 같이 불안한 증상이 발생할 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Q6. 약물 치료법은?

후종인대골화증은 아직 원인을 정확하게 모르는 병이다. 약물 치료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새로운 유전 연구 방법들이 나오면서 후종인대골화증과 관련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후종인대골화증이 뼈 혹은 인대와 관련된 유전자로부터 비롯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염증이 후종인대골화증을 유발한다는 결과가 관찰됐다.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면역 체계가 자신의 건강한 세포, 조직 등을 공격)과 관련이 높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 연구 단계에서는 실험적으로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을 써보기도 한다.

Q7. 끝으로 환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환자들이 병원에 내원해 후종인대골화증 진단을 받은 후,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고 겁을 내시는 경우가 많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아직까지는 잘 모르는 병이기 때문에 약물 치료나 식이운동 등의 치료법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어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후종인대골화증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수술로 제거하거나 신경 통로를 넓혀 증상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너무 무서워하지 말고 의료진과 함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