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사중에 미국에서 물마시기 대회에서 너무 물을 많이 먹고 사망한 뒤에 배상액을 189억원이나 받았다는 황당한(?) 기사를 보았다. 가끔 진료를 보다보면 물을 많이 먹는 것이 좋다고 물을 많이 마시는 환자들이 있는데, 맨날 물좀 적게
먹으라고 이야기를 하다가 이 기사를 보고 과연 얼마나 물을 많이 마시면 부작용이 날까....라는 생각에 한번 검색을 하였다.

뇌부종이 생기고 응급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


우선 물을 먹으면 우리몸에 어떤 변화가 올까?

우리몸은 단순한 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전해질....쉽게 말하자면 소금기가 있는 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우리몸은
전해질을 항상 일정한 농도로 맞추어야 여러 장기에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대사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농도의
전해질을 유지하고 있다.

근데 물을 먹으면 당연히 전해질이 낮아진다. 이때 우리몸에서 신장이 반응하여 남는 여분의 물을 소변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물을 많이 먹고 전해질이 낮아진다면 부작용이 몇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부작용이 뇌부종이다.
물을 많이 먹은 뒤에 우리몸의 혈액의 전해질이 낮아진다면, 뇌조직이 가지고 있는 전해질이 일시적으로 높기 때문에 삼투압작용으로
혈액에서 뇌쪽으로 먹은 물이 이동을 한다. 그럼 뇌가 물로 가득차게 되어 뇌부종이 생기고 응급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하는
것이다.



그럼 물을 어느정도 먹으면 전해질이 어느정도 떨어질까?


실제로 60kg의 정상적인 여성이 소변을 보지 않고 물을 단기간에 약 1리터를 먹는다면 전해질은 4.5mmol/l정도 떨어진다고 한다. (참고 1)

위의 기사의 주인공은 몸무게가 어느정도인지 모르지만 기사에서 7.5리터를 먹었다고 하니 7.5 x 4.5 = 33.75mmol/l정도 전해질이 떨어졌을 것이다.

그럼 정상적인 전해질 농도가 140mmol/l이므로 140 - 33.75 = 106.25mmol/l의 전해질이 일시적으로 되었을 것이다.


의사라면 다 알겠지만 우리몸의 전해질 농도가 140에서 130정도만 떨어져도 병원에서 상당히 긴장하게 되는데, 120 이하면 내과적으로는 응급상황이다. 근데 전해질이 106mmol/l라면 뇌부종이 생기고도 남을 수치이다.


실제로 법의학쪽에서는 단기간에 물을 많이 먹고 사망한 례가 보고되고 있다.

자기가 단기간에 물을 많이 먹어서 죽는 경우, 마라톤을 하면서 물을 너무 많이 먹은 경우, 맥주에 탐닉하다가 사망한 경우, 극단적인 경우는 수중분만하다가 사망한 경우.....(참고2)


그렇다고 하루종일 조금씩 해서 7.5리터 정도 먹는다고 사망하지는 않는다.

위의 예를 든것은 몇 분 이내에 그정도 먹는다면 일어날 수 있는 일로, 하루동안 7.5리터 먹는다고 사망하지는 않는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약 분당 12ml의 순수한 물을 신장에서 배출 가능하므로 이것을 하루동안 계산해보면 12ml x 1440
min /day = 약 17리터정도 하루 먹더라도 신장이 이에 대해서 잘 반응 하므로 우리몸의 전해질에 이상이 발생되지는
않는다.(참고 3)


단 신장이 건강한 젊은 환자의 경우로 한정했을때이다. 소변은 많이 보러가서 좀 불편하겠지만.



참고문헌 :

1. Gardner JW, et al. Fatal water intoxication of an Army trainee during urine drug testing. Mil Med 2002;167:435-7

2. Byramji A, et al. Hyponatremia at autopsy: an analysis of etiologic
mechanisms and their possible significance. Forensic Sci Med Pathol
2008;4:149-52

3. Nicole Ali, et al. The case : A 66-year-old male with hyponatremia. Kidney International 2009;76:233-234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