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29일자 Newscientist.com 에 브레인 스캐너와 관련한 글이 실렸습니다.  언제나 어떻게 하면 뇌를
스캔할 수 있을까?하는 주제는 과학자들과 SF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단골 주제이지요?  내용이 꽤 깁니다만, 내용을 요약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원문:












사람이 생각하는 것을 읽어낸다는 브레인 스캐너라는 것이 실제 가능한 걸까요?  온전하게 기능을 구현할 수는 없겠지만, 뇌활동의
패턴을 분석해서 사람들이 어떤 그림을 보고 있는지, 가상환경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또는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등이 가능한 수준의 기술개발이 되었다고 합니다.  






2009년 10월에 시카고에서 있었던 신경과학회(Society of Neuroscience)에서 UC 버클리의 Jack
Gallant는 뇌의 활동을 읽는 것만으로 비록 해상도가 낮고 흐릿하기는 해도 동영상 클립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한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또다른 세션의 연구자들은 역시 비슷한 형태의 신경해독(neural decoding) 기술을 이용해서 기억을
읽어내는데 성공을 하였고, 이 기술을 섭식장애(eating disorder)를 진단하는데 활용하는 예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렇게 발달된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실제로 마음을 읽어내는 브레인 스캐너의 개발이 정말로 현실화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잘못 활용된다면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일이 될수도 있겠지요.  그렇지만, 이런 기술이 가져오게 될 좋은 점도
무척 많습니다.  특히 뇌경색 등으로 말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이나 퇴행성 신경질환 환자들의 경우 말을 하고, 글을
쓰게 되는 등의 자신의 의사표현을 분명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창의적이고 머릿 속에 많은 것을 그려내는 사람들의
생각을 쉽게 그림이나 동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면 새로운 창조적 발명이 가속화 될지도 모릅니다.  특히 저처럼 머릿 속에
끊임없이 새로운 생각이 떠오르지만, 그림에 소질이 없어서 제대로 그려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유용한 기술이 아닐 수
없습니다.






UC 버클리의 Gallant 교수팀이 이용한 방법은 뇌의 시각중추의 활동전위를 해석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실험실 멤버들로
하여금 2시간 정도 DVD 트레일러 비디오 클립 영상을 보도록 하면서, 뇌의 활동전위를 스캐닝 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동영상에서 나오는 모양이나 컬러, 움직임 등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시각중추에서 나오는 신호의 패턴을 분석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비교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런 식으로 분석한 데이터를 유튜브 클립 200일 분 정도가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비슷했던 패턴을 가진 유튜브 클립을 선택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런 다음, 완전히 다른 새로운 영상
클립을 보도록 한 뒤에 기록한 뇌의 활동 데이터를 이용해서 100개의 유튜브 클립을 선정하고 이를 융합하는 형태로 새로운 영상을
만들었는데, 만들어진 최종 영상은 비록 희미하고,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원래의 비디오 클립과 비슷하게 만들어내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앞으로 뇌과학이 얼마나 발전을 해서, 기억을 읽거나 감정을 알아내는 등의 기술들이 정교하게 개발이 될지는 아직 잘 모릅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결과는 어쩌면 머지 않은 시기에 이런 일들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그렇자면,
윤리적인 측면에서의 접근과 사회적인 대처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벌써 그런 부분을 고민해야 할 시기로 접어드는 것 같습니다.
관련 영상도 하나 임베딩 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