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재 급격하게 분산(decentralized) 네트워크의 시대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인터넷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분리된 컴퓨터들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으면서 개개의 컴퓨터들이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나 데이터 등이 일정부분 연결되고 공유되면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소셜 웹은 이런 연결구조를 사람 기반으로 바꾸어 놓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이런 인터넷의 연결구조가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를 단지 기술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이런 변화가 가져오게 되는 많은 문화적, 철학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예상하지 못한 많은 장애물에 부딪히게 될 것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대세인 것은 사실

클라우드 컴퓨팅이 대세인 것은 분명합니다.  인터넷의 연결성이 날이 갈수록 확대가 되면서, PC에 머물던 링크가 스마트 폰을 거쳐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과 TV 등의 가전제품 등으로 급속하게 확대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연결성에서 많은 사회적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사랑을 받을 수 밖에 없고, 구글과 같이 거대한 인프라를 갖추고 편리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 회사들이 점점 부각될 것은 부인할 수 없는 대세입니다.  여기에 페이스북이나 아마존과 같은 회사들의 서비스나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욕심을 내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하겠습니다.  

이런 변화는 필연적으로 자본투자와 거대한 인프라 경쟁을 촉발하게 되며, 여기에서 소위 말하는 "클라우드 자본주의(Cloud Capitalism)"도 등장합니다.  많은 회사들이 이런 인프라 투자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에 동참하는 많은 개미(?) 참여자들과 사업화를 추진해가고 있는데, 구글과 애플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구글은 이해가 되지만 애플은 이해가 가지 않으시나요?  애플의 아이튠즈(iTunes)는 음악서비스의 클라우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앱스토어(AppStore)는 수많은 써드파티 앱들의 클라우드 시장이 되고 있습니다.  이미 아이팟, 아이폰, 그리고 앞으로 등장할 아이패드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단단한 입지를 다지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문화도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비즈니스 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됩니다.  이런 변화는 우리들이 가지고 있었던 철학과 문화에 많은 문제점을 제기하기 마련입니다.  단순히 컴퓨터 소프트웨어만 클라우드에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를 보고, 사진에 접근하고, 책과 스토리 그리고 음악과 같은 우리가 아는 모든 컨텐츠와 미디어들이 클라우드 위에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변화에는 어떤 문화적, 철학적인 고려가 되어 있나요?

예를 들어, 구글의 Gmail 을 생각해 봅시다.  Gmail 사용자들은 더 이상 자신의 개인적인 메일의 내용을 자신의 컴퓨터나 전화기에 저장하지 않고 구글이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합니다.  만약 구글이 구글 클라우드를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커다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문제가 생겼을 때 구글이 이에 대한 보상을 해주느냐?하면 그것도 아닙니다.  일정부분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에는 그 정도의 문제를 감안하고 편리함을 선택하겠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입니다.  

구글은 전세계의 도서관에 있는 책들을 스캔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저작권자 및 출판사들과 제대로된 소통을 하지 않았습니다.  아무리 그 의도와 내용이 좋았다 할지라도 그들은 과거의 문화를 근거로 삼고 있는 집단들의 문화적 가치충돌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최근 합의를 통해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지만, 그 합의의 내용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과연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가치의 합의인지는 의문점이 많이 남습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은 아직도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한 문화적인 합의가 잘 되어있지 않으며, 이런 노력이 상대적으로 경시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입니다.  


나라별로 다른 문화적 가치의 충돌

최근 프랑스와 독일의 정부들도 구글이 진행하는 도서관의 책 스캔 및 수집과 관련하여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습니다.  중국정부는 진작에 이런 움직임을 차단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주장하는 이유는 각기 다릅니다.  프랑스 정부는 자국의 문화에 위협이라고 판단을 했고, 중국 정부는 안보의 차원에서 접근했으며, 미국 정부가 우려한 것은 독점이 될 것을 우려했습니다.  그렇지만, 아이디어의 흐름을 막지 않고, 사회의 발전에 있어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수많은 전세계의 네티즌들은 이렇게 국가들이 과도한 규제를 하려는 것에 대해 다같이 반발하는 움직임이 있는 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여러가지 문화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네티즌들 이하 클라우드 컴퓨팅의 시대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철학적, 문화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찰스 레드베터(Charles Leadbeater)가 주창한 개방형 클라우드 선언(Open Cloud Declaration)의 5가지 원칙이 잘 정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고민들도 더 많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제 생각에는 UN에서 반기문 총장님이 가장 중요하게 해야할 일이 아닌가 하는 느낌도 있습니다.

5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리는 구글이나 애플과 같은 특정 회사의 표준 클라우드 밑에서 동작하는 디지털 하늘을 원하지 않는다.  첫번째 원칙은 다양성이다.  우리에게는 공공 클라우드가 필요하다.  위키피디아나 전세계 박물관들이 개방형으로 협력하여 만들고 있는 월드디지털라이브러리(World Digital Library)와 같은 전세계 공공 클라우드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
  • 상업적 클라우드의 규제를 피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있어야 한다.  이들의 지나친 권한을 규제하거나 공정한 경쟁이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 사람들이 보다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쉽게 서비스를 옮길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클라우드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충분히 안전해야 하며,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측이 아니라 개인의 자유의사에 의해서 컨트롤 되어야 한다.  
  • 기존 산업시대 미디어들이 새로운 클라우드 서비스의 진입을 막는 행위도 규제해야 한다.  그 중심에는 저작권(copyright)가 있다.  클라우드 문화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쉽게 협업하고, 공유하며, 창조하는 것에서 창의성을 증진하고 사회의 가치를 올리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지나친 저작권은 이런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다.  새로운 형태의 라이센싱(licensing) 방법이 있어야 하며, 이는 개방적인 접근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Creative Commons 는 좋은 시작점이 되지만, 창의적인 아티스트나 저작을 하는 작가들에게 리워드를 줄 수 있는 고려가 더 많이 되어야 한다.
  • 전세계 정부들의 과도한 규제 역시 중대한 위협이 된다.  전세계의 정부에서 이러한 패러다임과 문화의 변화를 인지하고 이를 과도하게 규제하기 보다는 지원할 수 있는 설득의 노력이 필요하다.
  • 개방형 웹에 있어 가장 무서운 문제는 불평등(inequality)이다.  아직도 많은 못사는 나라의 국민들은 디지털 월드에 발도 내딛지 못하고 있다.  모바일 웹을 시작으로 다양한 기기들 및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은 이런 못사는 나라들의 국민들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클라우드 문화는 반드시 이와 같은 글로벌 문화를 증진하는 것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오픈소스 개발도구, 매우 저렴한 기기의 보급, 위키피디아와 같은 서비스들의 활성화, 그리고 여유가 있는 쪽에서 기부를 하고 같이 나누는 문화 등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어야 한다.

앞으로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은 담론이 형성되고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제는 기술쟁이들의 시대가 아니라, 기술이 자연스럽게 우리들의 생활을 바꾸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으니까요 ...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