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연구진들은 경미하거나 중증도의 인후염에 감염된 소아들에서 수술과 주의 깊게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간에 감염 재발률과 발열에서 통계적 차이가 없다고 보고했습니다. 연구 방법은 2-8세의 300명 소아를 대상으로 절반은 수술을 했고 절반은 감염시 항생제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해외의 건강, 의료관련 인터넷 언론과 국내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자칫 기사를 보고 '편도 제거 수술은 안해도 되는 것이구나?'라고 오해하실 것 같아 몇 글자 적어 봅니다.


관련 기사 :

열 나는 아이 '편도선 제거' 효과 없다 - 메디칼 투데이
Tonsillectomy In Mild/moderate Throat Infection Cases May Not Be Worth It - Medical News Today


이번 논문은 네덜란드 Groningen 대학 이비인후과 교수인 Erik Uskens 박사가 작성했습니다. 네덜란드에서는 1만명 당 115명을 편도수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미국이 1만명에 50명, 영국이 1만명에 65명 수술하는 것에 비해 높은 수치입니다. 수술과 항생제등 보존적 치료의 가격대 성능 (cost effectiveness)를 알아보는 것이 논문의 요지입니다.


대상환자를 모집할 때 수술이 꼭 필요한 환자는 제외하였습니다. 이 것이 이번 논문을 읽을 때 자칫 오해하기 쉬운 부분입니다. 자주 인후염이 걸렸던 환아 (history of frequent throat infection)과 호흡이 곤란하거나 수면시 무호흡이 관찰되는 환아는 처음 부터 논의 대상이 아니였습니다. 수술을 해야한다는 것이 명확하기 때문이라고 저자들도 밝히고 있습니다.


영문 제목에서 나타나듯 경미-중증일 때 수술하는 것이 보존적 치료를 사용하며 잘 지켜보는 것(watchful waiting) 보다 더 가치있다고 이야기 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이 인후 감염시 편도, 아데노이드의 비후가 생기는 것은 나이가 먹으면서 줄어드는데 그 때까지 보존적인 치료를 하는 비용이 수술하는 비용보다 적게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또 수술한다고 해서 인후염이 안생기는 것도 아니고 열이 안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죠. 이는 치료의 효용성을 따질 때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논문의 가치가 여기 있다는 것은 틀림 없지요. 단지 이 부분만 강조하다보니 전후 배경이 다 빠진 것 같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수술과 보존적 치료의 비교를 의료비 지출과 인후염, 발열로만 비교했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환아가 느끼는 편안함이나 인후염이 생겼을 때 정도의 차이등은 객관적으로 비교가 되있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도 주관적인 편안함을 정량화 하기 어려움을 겪습니다. 또한 어떤 환아에서 수술이 더 효과적이였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저자들도 말하고 있습니다.


어찌 되었든, 국내에서도 수술을 많이 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는 것은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이비인후과 의사는 아닙니다만, 수술이 필요하다고 말했을 때 필요 없는 수술하자고 한다고 오해할 수도 있을 것 같아 몇 자 적어봅니다.


Source : Adenotonsillectomy or Watchful Waiting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ymptoms of Throat Infection or Adenotonsillar Hypertrophy, A Randomized Comparison of Costs and Effects, Erik Buskens et al.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Vol 133 (No. 11), 2007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