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학교의 교실을 보면 정말 천편일률적이다. 성냥갑이 연상된다, 그 안에 배치된 책상과 의자도 그렇고,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가르치는 방법도 그렇다.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토론이나 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형식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교육을 하기에는 오늘날의 학교 교실 공간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런 학습공간의 리모델링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 미래의 학교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라면 이 부분에 대해서도 많이들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몇몇 학교들은 자신들의 교육방식에 맞추어 학교공간을 개조하는데 열성적이다. 일부 사례를 보면서 어떤 변화가 유익할 수 있을지 살펴보자.

가장 대표적인 곳은 몬테소리 교육을 하는 교육기관들이다. 전통적으로 몬테소리 교육의 교실에는 책상이 거의 없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열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구들이 들어있는 개방형 선반이다. 여기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교구를 꺼내서 작은 책상이나 러그가 깔려있는 바닥에서 여러 가지 창의적인 활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미네소타 주에는 환경에 초점을 맞춘 고등학교인 SES(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라는 학교가 있다. 이 학교는 미네소타 동물원 부지에 독립적인 사무실 공간의 형태를 가진 교실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학교는 4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서로 다른 학년의 학생들 100명 정도가 공부한다. 학교에 있는 동안 여러 과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어떤 과목은 기본적으로 내용이 중요하고, 어떤 과목은 여러 학문에 융합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건물에는 공간을 활용하는 스케줄을 잡는 스태프가 있어서, 작은 그룹과 큰 그룹의 공부가 상황에 따라 유기적으로 잡히게 되고, 내용과 과목의 성격에 따라 교실이 배정된다.

아래는 건물의 구조도이다.



각 건물에는 10개의 교실이 가운데 공용지역을 'ㄷ'자로 둘러싸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는데, 가운데 공용지역은 다양한 형태의 미팅이 이루어지고, 커다란 그룹이 모여서 작업을 하기도 하고, 다양한 형태의 분반작업이 이동 가능한 화이트보드와 배치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10개의 교실에는 기본적으로 10명의 학생들이 들어가서 공부할 수 있는 책상을 가지고 있다. 책상의 표면은 필기와 그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기나 노트를 작성할 수 있고, 책상을 모아서 커다란 캔버스로 활용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책상은 학생들의 개인 소지품을 둘 수 있어서 학교에서 학생들의 집이나 마찬가지 역할을 한다. 이 학교에는 라커룸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학교의 구조까지 바뀌지는 않더라도, 책상의 색다른 활용으로도 충분히 많은 효과를 낼 수 있다. 페이스북을 창업한 마크 주커버그가 다닌 학교로도 유명한 뉴햄프셔 주의 Phillips Exeter Academy는 소집단토론과 세미나를 교육방식에 많이 도입한다. 이를 위해서 이 학교에서는 원형의 테이블을 이용해서 수업을 한다. 이런 수업방식을 Harkness 라고 하는데, 선생님과 학생들이 진지하게 서로를 보면서 공부도 하고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가구와 배치가 많은 것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새로운 학교 디자인의 사례로는 콜로라도 덴버에 위치한 Denver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있다. 이 학교는 지역사회에 설립된 작은 대안학교인데, 집을 연상시키는 아늑한 디자인과 카페트와 소파, 그리고 높은 천장을 가지고 있다. 이 빌딩의 디자인 컨셉은 유연성(flexibility)이라고 하는데, 건물 내에 굉장히 다양한 크기의 교실들이 있으며, 모든 교실에서 바로 바깥으로 나가는 문이 있다. 아래는 이 학교를 소개하는 유튜브 비디오이다.














이와 같이 우리의 학교의 건축과 교실의 모델도 생각에 따라서는 매우 다르게 만들어볼 수 있다. 비록 교과과정과 선생님과 학생들의 의식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공간과 건축의 철학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에 소개한 학교의 모델들 중에서 일부는 우리나라와 같이 공간에 민감한 곳에서는 채용하기 어려운 것도 많고, 모든 학교를 이런 식으로 만들기에는 천문학적인 개조비용이 들어갈 것이기 때문에 무작정 따를 수는 없겠지만, 변화를 이끌어내는 동력이 되었던 철학과 개념을 조금만 이해하더라도 우리나라와 각 지역에 적합한 학교와 교실의 모델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참고자료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홈페이지

Phillips Exeter Academy의 Harkness 관련 페이지
Denver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홈페이지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