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 강한 자외선은 ‘피부암’ 일으키는 주범
햇빛은 WHO 지정 1군 발암물질…준비 없는 야외활동 피부암에 노출
‘피부암’은 국내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서구의 암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도 피부암 환자를 많이 볼 수 있다. 피부암 환자는 늘고 있지만, 다른 암에 알려진 정보는 많지 않다. 피부 암을 일으키는 발병 원인은 다양하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는 바로 ‘자외선’이다.
햇빛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피부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손에 꼽힌다. 봄에는 야외 활동이 늘면서 자외선에 노출되기 쉽다. 여기에 환경오염에 따른 오존층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양도 증가한다.
자외선은 우리 몸에 이로운 점도 있다. 하지만, 피부에는 해로운 점이 더 많다. 자외선이 색소질환과 피부암‧광노화, 광과민 질환 등을 일으킨다. 특히 자외선 A와 B는 피부 노화와 피부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외선 A는 파장이 길어 피부 깊이 도달한다. 전신적으로 면역억제를 일으킨다. 자외선 B는 직접 DNA를 파괴해 암 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피부암은 다른 암에 비해 병변이 대부분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 결과가 좋다. 전이 위험률도 낮다. ▲검은 점이 새로 생긴다거나 ▲이미 있던 점의 모양이나 색조‧크기가 변할 때 ▲일반적인 치료에도 낫지 않는 궤양이나 상처가 있다면 전문 의료진을 통한 피부확대경 검사나 조직검사를 권장한다.
자외선이 가장 강한 낮 12~3시 사이에는 야외 활동을 가급적 줄이고, 외출 전 자외선 차단을 위한 양산과 챙이 넓은 모자, 소매 긴 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바르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UVA와 UVB 모두 막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희대병원 피부과 정기헌 교수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 전 충분히 바르고, 일광 노출 후에도 수시로 덧발라야 한다”며 “따뜻한 봄 날씨를 만끽하기 위한 외출에 앞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철저한 준비와 함께 장시간 노출을 최소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