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태양에 피부 화끈, '일광화상' 신호…일광화상 대처 ABC

일광화상에 농포까지…2차 세균감염 여부, 병원서 확인 필요 병원 진료 어려울 땐 심한 염증·통증 조절 위해 소염진통제를

2023-07-12     김경원 기자

여름 휴가철 바닷가나 산 등에서 햇빛에 지나치게 노출되면 자외선으로 인한 ‘일광화상’을 흔히 입을 수 있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가 당기면서 화끈하고 따가운 증상은 일광화상이 발생한 신호이므로 그 즉시 야외활동을 중단하고, 그늘진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강북삼성병원 피부과 최영준 교수는 “초기의 일광화상은 차가운 물, 냉타올, 얼음찜질, 알로에, 무알콜 화장수 등으로 피부를 냉각 및 진정시킬 수 있다"며 "특히 차가운 우유에 적신 수건을 이용해 피부를 진정하는 것은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 성분이 피부 장벽을 보호해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일광화상으로 물집이 생긴 뒤 농포가 발생했다면 피부의 2차 세균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최영준 교수는 "이때는 병원에 내원해 항생제 및 소염제, 색소침착억제제 등을 처방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며 "병원 진료를 받기 어려운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면 피부 염증 반응과 통증이 경감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광화상으로 인한 통증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것도 피해야 한다. 

최 교수는 "증상이 심한 부위에 뜨거운 물, 샴푸, 향수,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스킨 토너 등), 자극적인 클렌저나 스크럽 등의 접촉은 자극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