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성적 미국과 달랐던 이유 "지원 부족"
윤영경 교수 "백신·치료제 개발 기업에 정부 지원 필요" 복지부·식약처, 민관 협력 동감…적극적 투자·지원 약속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서 한국이 뒤처졌던 이유가 부족한 정부 지원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또 다른 팬데믹에 대비하려면 민관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고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지속 가능한 국가 보건의료 정책 방향: 제2의 코로나19 대처 가능한가’ 토론회에서 나온 지적이다.
고려의대 감염내과 윤영경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백신과 치료제 개발과 관련해 정부의 민간 부문에 대한 투자와 협력이 부족했다고 했다.
윤 교수는 “우리나라 기존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 R&D 사업은 기획에 따른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었는데 코로나19가 터지면서 이런 시스템의 불안정성이 드러났다”며 “반면 미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즉시 백신 개발에 거액을 투자했으며 심지어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1상 통과 후 바로 생산에 돌입하도록 지원했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미국이 1년 안에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던 것은 정부가 규제를 완화하고 비영리 재단, 민간 제약사와 간 협업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는 어땠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성분명 레그단비맙)’ 등 여러 회사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성공하고 국외에서 임상시험도 진행했지만 사업성 보장 등 정부 지원은 부족하다고 했다.
윤 교수는 “백신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의 건의사항을 들어보니 임상 후보 물질 평가 시설과 자금 등 국가 지원이 필요함에도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투자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의 사업성 보장이나 비축 요청이 잘 이뤄지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향후 팬데믹 대응을 위해서는 코로나19 경험을 거울 삼아 정부와 민간 간 협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윤 교수는 “현재 미국은 ‘PREMISE’, ‘프로젝트 넥스트젠’ 등을 통해 감염병 연구와 백신 개발 예산을 지원하며 글로벌 기관과 민간 간 협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R&D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범부처 전문가협의체와 연구 플랫폼을 기획하고 있다고 들었다. 향후 예산 지원과 다부처 간 협업, 민간과 협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기업도 백신·치료제 개발을 독려하고 지원할 국가 주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우흥정 부사장은 “변이가 발생하면 치료제의 효과가 사라지는 만큼 다양한 기전을 가진 안정적인 치료제가 시급히 준비돼야 한다”며 “약물에 대한 인·허가 제도 완화 등 치료제 개발을 독려하고 지원해 줄 국가 주도의 프로그램과 국내 제약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도 기업이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적극 나서려면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보건복지부 홍승령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코로나19 당시 백신과 치료제 사업을 지원하면서 기업의 개발 의지를 확인해다. 이에 정부 지원을 위한 예산을 확보했으나 그 과정에서 더 많은 기업에 투자하지 못했던 부분은 아쉽다”고 했다.
홍 과장은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범부처적 협력이 필요하다”며 “질병관리본부가 질병청으로 승격하고 감염병연구소가 설립되는 등 정부 내 감염병과 백신 담당과가 자리 잡고 있다. 향후 R&D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통해 더 많은 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범부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정현철 바이오의약품정책과장도 “차후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백신·치료제에 안정성 평가 기준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며 “국가 R&D의 마지막 목표가 제품화인 만큼 감염병 대응 R&D에 대해선 개발뿐 아니라 유통·사업까지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의 지술지원과 컨설팅, 임상시험 검체분석 등을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