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 당뇨병’을 더 이상 ‘소아 당뇨병’으로 안 부르는 이유
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하지만 완치 없이 평생 관리해야 경제‧심리적 부담 커…1형 당뇨병에 사회적 관심‧지원 절실
‘2형 당뇨병’으로도 불리는 ‘성인 당뇨병’은 비만 또는 단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활 습관에 문제가 있어서 발병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비해 ‘'1형 당뇨병’은 유전‧면역‧환경적 요인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고 인슐린 분비가 안 되면서 발병한다.
우리 몸은 음식을 섭취해 혈당이 높아지면 췌장에서 적정량의 인슐린을 자동으로 분비하면서 혈당이 정상 범주보다 오르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몸 안의 혈당이 급하게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1형 당뇨병은 주로 5~7세 소아와 사춘기 연령에서 발병했다. 1형 당뇨병이 ‘소아 당뇨병’으로 불린 이유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만으로 인한 소아청소년 2형 당뇨병 환자도 늘고 있다. 때문에 1형 당뇨병에 대해 소아당뇨병이라는 말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1형 당뇨병은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해서 완치 없이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관리와 전문의 도움이 중요하다. 특히 소아청소년은 성장하는 시기인 만큼 음식을 강하게 제한할 수 없다. 어린 1형 당뇨병 환자일수록 혈당을 관리하면서 동시에 성장에 필요한 영양은 채울 수 있는 식단이 중요하다.
또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저혈당‧동맥경화 등 혈관질환, 감염 등 여러 합병증을 평생 조심해야 하는 만큼 경제‧심리적 부담도 많을 수밖에 없다. 최근 충남 태안에서 1형 당뇨병을 앓던 7살 딸과 부모가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일도 있었다.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내분비 전문의 김혜순 교수는 “1형 당뇨병 환자들이 몇 십년 간 지속하는 경제‧심리적 부담으로 고통받는 것을 보면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안타깝다”며 “적절한 치료와 의학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아 내분비 전문의를 찾아 잘 치료받고 관리받을 수 있길 바라고, 동시에 우리 사회가 1형 당뇨병 환아들을 위한 지원 체제를 잘 갖추어 그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