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성형, 고도의 전문 지식 필요…미용성형시장 개방, 국민건강 위협

성형외과학회, 5일 성명 통해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 규탄

2024-04-05     고정민 기자
의료 위기 장기화로 필수의료 분야 곳곳에서 경보가 울리고 있다. 성형외과도 예외가 아니다.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과 필수의료 정책을 밀어붙이면 국민 건강이 위험에 빠진다고 경고했다. 사진 제공=게티이미지

의료 위기 장기화로 필수의료 분야 곳곳에서 경보가 울리고 있다. 성형외과도 예외가 아니다.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과 필수의료 정책을 밀어붙이면 국민 건강이 위험에 빠진다고 경고했다.

대한성형외과학회는 5일 성명에서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으로 발생한 의료 위기에 유감을 표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합리적인 조치를 즉각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필수의료 대책으로 "의사가 아닌 의료인에게 미용성형을 허용"하면 국민 건강이 위험해진다고 했다. 미용성형에 대해 "고도의 전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합병증 발생도 적지 않다. 전문 의학 교육을 받아야 하는 의료 영역"이라면서 "이런 의료 시술을 다른 의료 종사자에게 허용하면 미용의료시술 안전은 심각하게 저해된다. 부작용으로 국민 건강을 위험에 빠트린다"며 즉각 철회하라고 했다.

한편 "필수의료 수련을 어렵게 마치고 훌륭한 자질을 갖춘 많은 의사가 현실적인 문제로 전문과목을 포기하고 미용의사로 개원하고 있다"며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했다. 성형외과 역시 기형 수술이나 재건 수술처럼 필수의료를 담당하지만 "의료 구조를 왜곡하는 집단으로 오해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성형외과학회는 "필수의료 한 축을 담당한 성형외과 전문의들은 이 어려운 시기에도 묵묵히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전공의들이 일방적인 포퓰리즘 의료 정책으로 수련을 포기했고 교수는 야간 당직을 서며 의료 대란을 막고 있지만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고 호소했다.

성형외과학회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문제는 턱없이 낮은 수가와 소송 위험을 방치해서 일어났다. 의과대학 정원 증원은 문제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정책"이라면서 "정부는 현장 문제점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의료인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긴밀히 협의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가 의료체계를 위태롭게 하고 본질에서 벗어난 무리한 정책은 과감히 철회하고 수정해야 한다. 정부는 현재 의료 위기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고 정상화되도록 합리적인 조치를 즉각 시행하라"고 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