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약 먹는다는 ‘통풍’(痛風)…좋아지면 약 끊어도 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손창남‧오윤정 교수에게 듣는 통풍 A to Z

2024-04-08     이창호 기자

통풍’(痛風)은 바람에 스치기만 해도 극심한 통증을 느낀다고 해서 병명이 붙을 만큼 통증이 심한 질병이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요산염이 관절과 주위 연부조직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통풍의 원인인 요산은 음식에 함유된 퓨린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찌꺼기다. 40~50대 중년 남성에게 주로 많이 발병한다. 극심한 통증은 대부분 엄지발가락에서 발생하고, 발목과 무릎에도 나타난다.

통풍 치료는 수술시술 치료가 없다. 평생 약으로 관리해야 한다. 요산 축적을 억제하거나 소변으로 배출하는 게 중요하다. ‘요산저하제복용해 높아진 요산 수치를 낮추는 요산저하치료를 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손창남오윤정 교수에게 통풍 치료를 위한 요산저하제를 복용할 때 주의할 점과 통풍 환자의 식단에 대해 자세하게 들었다.

Q1. 통풍 발병 초기 요산저하치료는 어떻게 하나?

1년에 2회 이상 통풍에 의한 발작이 일어나면 요산저하치료를 시작한다. 이때 만성질환이 있거나 요산수치가 9mg/dl 이상일 때, 요로결석이 있으면 연간 발생 횟수와 관계없이 통풍 발병 직후부터 요산저하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Q2. 약을 꾸준하게 복용하면서 증상이 좋아지면 약을 중단해도 되나?

일부 연구 결과를 보면, 요산저하제를 1년 이상 복용한 통풍 결절이 없는 무증상 환자의 13% 정도는 5년 동안 요산수치 7mg/dl 이하(정상)로 재발 없이 무증상을 유지했다. 하지만, 대부분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약 부작용이 없다면 요산저하제를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다.

Q3. 고혈압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을 동반하면 별도 주의해야 하는 약이 있나?

통풍 환자는 약을 평생 복용하고 관리해야 한다. 복부비만과 고혈압고지혈증 같은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경우 이 약들도 함께 복용해야 한다. 이때 주의가 필요하다. 혈압약 가운데 이뇨제는 혈중 요산 농도를 높이는 만큼 고혈압이 있는 통풍 환자는 이뇨 성분인 티아지드’(thiazide), ‘푸로세미드’(furosemide) 성분의 약은 중단해야 한다. 여기에 요산을 낮추는 로사르탄’(losartan) 성분의 혈압약으로 대체해야 한다. 통풍 환자 고지혈증에는 요산을 배출하는 스타틴’(statin) 성분의 약, 중성지방에는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성분의 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Q4. 통풍 약을 오래 먹다보면 간신장이 나빠지지 않나?

요산저하제는 신장이나 간으로 대사된다. 환자의 기저질환을 고려해 약제를 선택하고, 약물을 복용하면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간신장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대부분 큰 부작용 없이 요산수치를 잘 낮추고, 약을 복용하지 않았을 때 위험보다는 약을 복용할 때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약을 잘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Q5. 아스피린이 혈중 요산수치를 높인다는 말이 있다. 통풍 환자는 두통이나 기타 통증이 있어도 아스피린을 복용해도 괜찮은가?

과거 저용량 아스피린이 혈중 요산수치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심장이나 다른 질환으로 아스피린을 복용 중이라면 굳이 중단할 필요는 없다고 제안되고 있다. 두통이나 통증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면 아스피린보다 다른 진통제를 복용할 것을 권장한다.

Q6. 통풍 환자는 퓨린이 들어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하는데, 피해야 할 식단은 무엇인가?

퓨린은 요산으로 분해된다. 퓨린이 적은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육류와 내장 같은 장기부속물은 피하고, 해산물 중에서는 새우와 조개류는 줄이는 것이 좋다. 음식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액상과당은 요산을 높이는 만큼 과당이 포함된 음료수나 음식은 피한다. 맥주는 요산 혈중농도를 높인다. 통풍 환자에게 맥주는 독주보다 더 좋지 않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통풍 환자는 여러 대사질환이 동반되고, 음식과 복용하는 다른 약제들에 영향을 받는다.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맞춤치료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