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8일은 어버이날…부모님 치매 걱정에 조기 진단 관심 증가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진단에 방사성의약품이 가장 정확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레켐비, 7~8월 국내 도입 예상

2024-05-08     유지영 기자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치매 치료제와 함께 진단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치매 치료제로 알려진 ‘레켐비’의 국내 승인이 7~8월 경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레켐비는 치매의 주요 원인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표적 항체로, 심각한 인지저하 증상이 발현되기 전인 초기 단계나 경도인지장애 상태에서 투약 시 증상의 진행을 억제 시킨다. 치료제가 가장 큰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환자에게 적절히 처방되기 위해 조기진단이 강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시중에는 MRI, 혈액 진단 등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법이 다양하게 있으나 이 부분만을 타깃으로 축적 정도와 치료 경과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게 해주는 것은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PET-CT 촬영이 유일하다. 실제로 이런 점 때문에 레켐비 처방 과정에서 방사성의약품 PET 진단제 사용을 명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연간 레켐비 투약에 드는 비용은 환자당 2,000만~3,000만원 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객관적 환자 선별을 위한 표준 진단법으로 PET 검사가 이용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 ‘비자밀’을 이용한 진단 이미지, 컬러가 블루 및 그린인 경우 베타 아밀로이드 신경반 밀도가 거의 없다고 판단하며, 오렌지 및 레드일 경우 중증도 이상의 알츠하이머성 치매일 가능성이 높다.

방사성의약품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으로 방사성의약품 진단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곳은 듀켐바이오다. 듀켐바이오는 국내에서 최다 글로벌 수준의 GMP시설을 갖춘 방사성의약품 제조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의 90% 이상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레켐비의 국내 임상 과정에서도 듀켐바이오의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이 공급되기도 했다.

듀켐바이오 김상우 대표이사는 “급격한 고령화 추세에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증가로 치료제 및 진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정확한 조기 진단을 통한 치료제 처방으로 환자들의 정상적인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우수한 품질의 진단 의약품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