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도 막을 수 없는 ‘오존’…반복 노출 시 노약자‧임산부 폐 악영향

‘오존 민감군’ 심하면 천식‧기관지염 악화…오존주의보 챙겨야

2024-05-28     이창호 기자

대기 중 오존은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해 지표까지 도달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표면과 가까운 대류권에서는 우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오존에 반복 노출되면 우선 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기침과 메스꺼움, 가슴 통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심장질환, 기관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노약자와 영유아어린이, 호흡기질환자, 심장질환자, 임산부는 오존 민감군으로 더 주의해야 한다.

질병관리청 1차 기후보건영향평가 보고서를 보면, 오존 연평균 농도는 201035.8ppb에서 201945.0ppb로 증가했다. 단기 오존 노출에 따른 초과 사망자는 20101,248명에서 20192,890명으로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게티이미지

계절이 여름으로 갈수록 강한 햇빛과 약한 풍속이 각종 대기오염물질과 광화학 반응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는 만큼 오존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법을 알고 실천해야 한다. 현재 고농도 오존 발생상황을 사전에 알리는 오존예보제가 시행되고 있다. 외출 전 오존 농도를 확인하는 습관도 바람직하다.

오존 예보등급 보통(0.031~0.090)이면 특별한 제약은 없다. 하지만, 노약자어린이임산부 등 민감군은 컨디션에 따라 주의해서 일상생활을 하는 게 좋다. 나쁨(0.091~0.150)에는 장시간 실외활동을 삼가고, 눈이 아프다면 실외활동을 피하도록 한다.

이때 민감군은 실외활동을 제한하고, 불가피하게 외출해야 한다면 일사량이 높은 14~17시간대는 피하도록 한다. 매우 나쁨(0.151이상)에서는 모두 실외활동을 삼가며 실내활동을 하도록 한다.

또 오존 농도가 높을 때는 승용차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더운 시간대 주유하거나 드라이클리닝, 페인트칠, 스프레이 사용을 삼가야 한다.

대동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 김윤미(가정의학과 전문의) 과장은 기후변화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많은데 미세먼지에 비해 오존에 대한 관심은 적은 것 같다오존 역시 우리 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미세먼지와 달리 마스크를 착용해도 차단되지 않는 만큼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