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결핵 환자 진단부터 완치까지 내달 1일부터 맞춤관리 나선다

질병청,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사업' 시행 지자체·의료기관 통해 다제내성결핵 집중관리 정부, 치료 중단 없이 결핵 완치 가능토록 지원

2024-05-31     김경원 기자

질병관리청은 결핵 환자의 치료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환자의 상황에 따라 진단-복약관리-사회복지서비스 연계-전문치료지원을 하는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를 내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결핵 완치를 위해 감수성결핵(결핵치료의 근간이 되는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내성이 없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은 6개월, 다제내성결핵(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 두 가지의 항결핵제에 모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은 6~20개월동안 적절한 항결핵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결핵 환자가 치료 중 항결핵제를 임의 중단하는 경우 재발하거나 약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해 다제내성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완료 시까지 지속적인 약제 복용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결핵 환자는 고령, 사회경제적 문제, 동반질환, 약제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결핵치료를 중단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 결핵 치료성공률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질병청은 "결핵 환자가 사회경제적 문제, 질병인식의 부족 등으로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치료를 완료할 수 있도록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참여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협력해 결핵 환자의 진단부터 치료 종료까지 통합해 관리하는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사업을 시행하게 됐"고 밝혔다.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사업을 통해 결핵 환자는 진단 시 약제감수성검사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별 치료순응도 취약성평가 결과에 따라 복약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취약도가 높은 중-고위험군 환자는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해 관리된다.

또 다제내성결핵환자는 전문의료기관에서 치료받을 수 있게 안내가 이뤄진다. 또 다제내성결핵 환자 중 전문의료기관으로 전원이 불가능하더라도, 보건소-의료기관-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간 ‘사례관리회의’와 약제구성 컨설팅을 통해 전문치료관리를 지원한다.

질병청 지영미 청장은 “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함께 결핵 환자의 임상적·사회경제적 상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환자관리로 모든 결핵 환자가 성공적으로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꼼꼼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