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 투표 바라보는 의대 교수들 ‘신중’…“많은 고민 必”

최창민 위원장 “장기적으로 행동 나서야…고민하고 행동” ‘총파업’ 카드에 개원의들도 조심 “파업, 마지막에 꺼내야”

2024-06-04     김은영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단체행동 방향을 정하기 위한 총파업 투표를 예고했지만 개원의들에 이어 의대 교수 사회에서도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사진 제공: 대한의사협회).

대한의사협회가 단체행동 방향을 정하기 위한 전 회원 대상 총파업 투표를 예고했지만 개원의들에 이어 의대 교수 사회에서도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최창민 위원장은 4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교수들도 의협 회원이기 때문에 투표를 해보고 가결 되면 그 결정에 따라 행동을 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아직 투표를 시작한 것도 아니고 여러 가지 논의를 하고 있는 중”이라며 총파업 관련 결정된 것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아직 (총파업 투표가) 시작된다고 들은 건 없다. 전의비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대한의학회, 의협과 일주일마다 하는 회의가 내일(5일)있다. 그 때 논의를 해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은 총파업 투표에서 가결될 경우 의협 회원인 의대 교수들도 최종 결정에 따라야겠지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최 위원장은 “정부의 행동을 봤을 땐 한 두 차례로 해결될 것 같진 않다. 장기적으로 계속 (의료계가) 활동을 하거나 행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에 방법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거기 맞춰서 행동할 것 같다”고 했다.

개원의들도 의협이 꺼내 든 ‘총파업’ 카드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3일 서울시의사의 날 행사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서울시 각구의사회장협의회 박종환 회장(종로구의사회장)은 “파업이나 휴진은 가장 마지막으로 꺼내야 하고 사실 있어서도 안 된다.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왜 (의사가) 파업할 수밖에 없는지 생각해야 한다”며 “가급적 불행한 사태가 벌어지지 않고 상황이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간담회 후 열린 서울시의사의날 행사 축사에서 대한개원의협의회 김동석 회장도 “파업은 최후에 결정할 문제다. (파업하면) 국민 피해는 물론 의사들도 자존감이 상하는 행동으로 마음에 상처도 남는다”며 “의사가 행복하게 진료할 수 있도록 회원이 단합해 국민을 설득하고 정치권과 소통하며 사태가 빨리 해결되길 바란다”고 했다.

반면 의협 임현택 회장은 의료계 총파업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며 강경 대응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임 회장은 서울시의사의 날 행사에서 “우리는 힘을 합쳐 정부 폭압을 멈추고 사망 선고받은 의료 시스템을 되살려야 한다”며 “의협은 의료계를 한마음으로 모아 강력하게 대응하고 끝까지 맞서겠다. 의협이 앞장서서 나아갈 테니 지금처럼 도와 달라”고 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