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갑상선암에 경구강 로봇수술, 연하·발성 기능 보존 효과

명지병원 조기주·김완성 교수, 경구강 로봇수술 임상경험 발표

2024-07-01     김경원 기자

두경부암과 갑상선암 수술에서 연하·발성 등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입 안쪽을 통해 수술하는 경구강 로봇수술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명지병원은 지난 28일 로봇수술센터가 주최한 제2회 로봇수술 심포지엄에서 이비인후과 조기주 교수와 외과 김완성 교수가 두경부암과 갑상선암 수술에서 연하·발성 등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입 안쪽을 통해 수술하는 경구강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임상경험을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두경부암에서의 경구강 로봇수술에 대해 발표한 조기주 교수는 “상부 소화기도(구강, 구인두, 하인두, 후두) 종양 절제 시 흔히 경부 접근법이 사용되고 하악절개나 입술절개가 필요한데, 이 경우 동반된 합병증 발생률이 높고 수술 후 연하·발성 등 기능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며 “경구강 접근을 활용할 경우 합병증을 낮추고, 기능을 보존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갑상선암에서의 경구강 로봇수술에 대해 발표한 김완성 교수는 “갑상선암의 경구강 로봇수술은 절개부위인 입부터 갑상선까지 거리가 짧아 통증이 적으면서 회복은 빠르고, 수술 후 흉터가 보이지 않는다”며 “특히 로봇을 이용한 정밀한 수술로 신경손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목소리 변화도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명지병원이 로봇수술 300례를 기념해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해 개소 후 발전을 거듭 중인 로봇수술센터의 임상경험과 최신지견을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두경부암과 갑상선암 이외에도 신장암과 전립선암 등에서의 로봇수술의 위상도 확인됐다.   

이날 명지병원 비뇨의학과 김현회 교수(로봇수술센터장)는 “국소 신장암의 치료원칙은 신장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부분신절제술을 최우선으로 한다”며 “특히 로봇수술은 출혈과 회복기간, 합병증 발생률 최소화는 물론, 복잡한 수술에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만큼 로봇을 이용한 부분신절제술이 치료의 스탠다드”라고 말했다.

사진 제공=명지병원  

전립선암에서의 로봇수술을 발표한 명지병원 비뇨의학과 이소연 교수는 “전립선암 발생은 꾸준히 증가하지만 로봇수술 등 수술기법 발달로 치료 경과가 좋고,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사망률도 높지 않다”며 “PSMA-PET 등 전립선암 맞춤 영상이 발전하며 수술환자군이 변하고, 로봇수술 시 골반 림프절 절제술 빈도도 증가 추세인 만큼 적극적인 수술치료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탈장에서의 로봇수술의 현재도 짚어졌다. 명지병원 외과 박종섭 교수는 “복벽 결손을 통해 장이 빠져나가는 질환인 탈장은 과거 개복수술이 사용됐지만, 만성통증이나 합병증 발생, 늦은 회복이란 문제가 있었다”며 “이후 복강경수술이 개발돼 이 문제들이 일부 개선됐고, 최근에는 한 단계 진일보한 로봇수술을 통해 만성통증 및 삶의 질과 관련된 전반적인 지표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로봇보조 유두·유륜 보존 유방 전절제술의 활용도도 조명됐다. 명지병원 외과 신혁재 교수는 “로봇보조 유두·유륜 보존 유방 전절제술은 다발성 유방암이나 넓게 퍼진 상피내암, BRCA1,2 변이 환자들에게 주로 적용되는 수술법"이라며 "유방 피부를 침범한 유방암, 염증성 유방암, 유두를 침범한 유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술 상처가 겨드랑이 아래쪽에 위치해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심미적 효과가 크고, 로봇수술기를 활용한 섬세한 조작으로 출혈이나 합병증, 입원기간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여 말했다.

김현회 교수는 “명지병원 로봇수술센터는 개소 후 1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 양적으로, 질적으로 큰 성장을 이어왔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공유한 임상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의학발전을 이루는 계기로 활용하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