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수술하러 빅5병원 갔더니 '비싼 항암치료' 먼저 권유!?…왜?
폐암 선행항암치료의 모든 것
폐암 진단 뒤 수술치료가 필요하다고 해서 빅5병원 같은 대형병원에 갔을 때, 요즘 비싼 항암치료를 수술치료 보다 먼저 하자는 이야기를 듣는 환자들이 적지 않게 있다. 이때 폐암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수술을 못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폐암 환자·가족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 수술에 앞서 항암치료를 한다는 '선행항암치료'의 전제에는 '수술'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폐암 수술 전에 비싼 항암치료를 왜 먼저하는 것일까?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윤신교 교수는 유튜브 채널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 전에 항암치료를 해서 종양의 크기를 줄이고 면역반응을 유도해서 수술 후에 '폐암 재발 위험'을 줄이려고 하는 의도로 수술 전에 항암치료를 한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선행항암치료는 모든 폐암 환자가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폐암 중 소세포폐암 환자는 선행항암치료의 대상이 아니며, 오직 비소세포폐암 환자만 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 1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도 선행항암치료의 대상이 아니다. 윤신교 교수는 "임파선 전이가 수술 전 확인된 환자, 즉 1기는 아니고 2·3기 비소세포폐암 환자가 대상"이라고 말했다.
또 유전자검사를 했을 때 EGFR·ALK 같은 표적유전자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2·3기 환자도 선행항암치료 대상이 아니다. 윤 교수는 "폐암 선행항암치료는 표적유전자가 없는 환자가 대상이다. 표적유전자가 있으면 바로 수술하면 된다"며 표적유전자가 없는 비소세포폐암 2·3기 환자에게 선행항암치료를 했을 때 더 좋은 치료성적이 보고돼 치료법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폐암에 있어서 면역항암제와 세포독성항암제 조합의 '선행항암치료'의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수술 전 선행항암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면역지표 'PD-L1'의 발현에 따라 치료 효과는 조금 다른데, PD-L1 발현이 많이 돼 있으면 치료 효과가 높고 PD-L1 발현이 적으면 치료 효과는 이보다 떨어지지만 기존 치료보다 확실히 효과적이다.
윤신교 교수는 "PD-L1이라는 면역지표가 낮으면 수술하고 나서 현미경으로 봤을 때 '눈에 보이는 암세포가 아예 없다'라고 하는 가장 좋은 시나리오의 반응인 완전관해가 15%"라며 "만일 PD-L1이 아주 높은 경우에는 35%까지 완전관해를 얻어낼 수 있다"고 폐암 선행항암치료의 효과에 대해 짚었다.
물론 선행항암치료 뒤 모든 환자가 폐암 수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윤재광 교수는 "수술을 결국 못 하고 질병이 예상 보다 더 진행되는 경우가 약 20%가 있다고 많은 연구에서 계속 일치된 결과가 나온다"며 "이런 경우에는 수술하는 것보다 방사선치료를 하고 이어서 항암치료를 하는 게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선행항암치료는 어떻게 이뤄질까? 이 치료는 병원에서 치료 방향이 결정된 뒤, 짧게는 며칠, 길게는 일주일 정도 뒤 시작된다. 윤신교 교수는 "선행항암치료는 주사를 맞게 되는데, 면역항암제와 세포독성항암제를 병용해 병원 외래에서 3~5시간 정도 맞게 되고, 대부분은 3주 간격으로 치료한다"며 "(약에 따라 다르지만) 3~4번 정도 주사를 맞게 된다"고 말했다.
폐암 수술은 선행항암치료로 마지막 주사치료가 끝난 시점에서 4~6주 뒤 진행된다. 윤신교 교수는 이처럼 항암치료와 수술치료에 4~6주의 간격을 두는 이유에 대해 "항암치료의 기운이 다 빠지고 면역력이 회복되고, 체력도 회복이 돼 전신마취를 하고 수술받을 수 있는 컨디션을 만들어서 수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폐암 선행항암치료는 기존 치료보다 효과적이지만, 실제 치료를 받는데 장벽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현재는 이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가 안 돼 있는 치료비가 비싼 까닭이다. 윤신교 교수는 "선행항암치료 비용은 가장 실질적으로 걱정을 많이 하는 문제"라며 "아직까지 나라에서 급여를 못 해주고 있기 때문에 100% 본인 부담으로 치료를 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치료 비용 문제로 선행항암치료를 못 받는 상황이면 기존 치료보다 더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폐암 환자에게 전혀 없는 것일까? 아니다. 윤신교 교수는 "치료 비용이 많이 부담되면 임상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며 "임상연구에 참여하면 많은 비용 부담을 덜어낼 수 있는 기회여서 종양내과에서 상담하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