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용종 제거만으로 발병률 70~90% 낮춰…제때 건강검진 중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암종별 사망자 수통계 자료를 보면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전체 암 사망자의 10.9%로 국내 암 환자 사망률 3위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대장암을 1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면 90% 이상 높은 완치율을 보였다. 치명적인 암이지만 정기 검진으로 조기에만 발견하면 완치할 수 있다는 긍정의 신호이기도 하다.

대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발병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인 대장용종을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장용종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대장암 발생률의 70~90%를 줄이고, 사망률은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대장용종은 대장 점막 일부가 혹처럼 돌출해 있는 것을 말한다. 용종은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선종과 이보다 덜 위험한 용종으로 구분한다. 선종은 발생 후 5~10년이 지나면 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발견하면 바로 제거해야 한다.

일부 용종은 출혈과 분비물복통 등을 일으키면서 환자가 증상을 자각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용종은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어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 만 50세 이상 국민은 누구나 1년에 한 번 건강검진에서 무료로 분별잠혈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대장내시경검사를 역시 무료로 받는다. 대장내시경 검사 도중 대장용종이 발견되면, 그 자리에서 바로 절제한다.

한편 2021년 기준 우리나라 대장암 검진 수검률은 40.3%에 불과하다. 수검률이 낮은 이유는 대장내시경 검사에 대한 거부감도 한몫한다. 대장내시경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며칠 전부터 음식을 가려 먹어야만 하고, 장 청소를 해야 한다.

이때 역한 맛이 나는 장 정결제 4를 들이켜야 하는 등 준비과정도 부담스럽다. 대장내시경 이후 얼마간 지속되는 복부 불편감도 있다. 장 속을 펼쳐 살펴보기 위해 검사 중에 불어 넣은 공기가 검사 후에도 오랫동안 남아 뱃속에 불편감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CO2(이산화탄소) 대장내시경이 주목받고 있다. CO2(이산화탄소) 대장내시경은 내시경 검사를 할 때 대장에 공기를 주입하는 대신 의료용 이산화탄소를 주입한다. 공기는 장 점막에 흡수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산화탄소는 15분 이내에 장 점막에 대부분 흡수되는 만큼 뱃속이 편안할 수 있다.

강남베드로병원 내과 최연근 과장은 현재 우리 보건당국은 50세부터 대장내시경 검진을 시작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평소 기름진 음식과 가공육을 많이 섭취하거나 비만 체형이라면 40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용종이 대장암으로 발전하기 전 신속히 제거하는 것이 가장 쉽고 안전한 대장암 치료법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