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골수성백혈병/144쪽/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20,000원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Acute Myeloid Leukemia)은 골수와 혈액에서 백혈병 암세포가 계속 증가하는 혈액암으로 성인 백혈병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진행이 빠르고, 급작스럽게 발현한다. AML의 평균 진단 나이는 67세로 고령 환자의 비율이 높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병률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령 AML 환자는 노화로 인한 질환까지 가지고 있어 항암 화학치료 효과가 낮고, 합병증 발생 위험은 크다. , 백혈병 세포 자체의 염색체 이상과 분자유전 변이도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환자 개인의 건강 상태 평가를 선행하고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AML은 감염증, 약제 내성과 재발 등의 문제로 완치율이 아직 높지 않다. 치료 후 재발이 가장 큰 문제다.

한편 위험군 분류에 따라 잘 계획된 항암요법과 조혈모 세포이식 치료법으로 치료 성적이 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 개발 승인된 표적치료 신약으로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이러한 정밀의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면서 AML 치료가 새로운 기원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환자와 가족, 그리고 의료진 간의 자세하고 깊이 있는 정보 교환과 의견 조정이 필수다. 외래 진료와 회진하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지만, 시간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때 최신 의학 지식에 기반해 작성된 자료 책자를 가까이 두면 치료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연세암병원 혈액암센터가 AML 환자를 위한 소책자를 발간한 이유다.

이 책자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전반적 지식은 물론 특별히 고령 AML과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APL)에서 추가 고려돼야 할 많은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책은 모두 3장으로 구성돼 있다. 1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는 AML의 원인과 증상진단치료신약 등 질환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다. 2고령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세포독성 항암치료를 받기 어려운 고령 AML 환자에게 사용하는 저강도 치료인 저메틸화 치료를 소개한다. 기타 표적 치료제 신약, 그리고 이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도 들을 수 있다. 3급성 전골수성 백혈병에는 AML의 한 종류인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APLacute promyeloid leukemia)을 다룬다. AML 환자 가운데 10% 정도가 APL이고, 평균 진단 나이가 45세로 비교적 젊다.

급성백혈병은 장기간의 힘든 치료가 필요하다.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확한 정보가 요구된다. 이 책은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이제 막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한 환우와 가족들에게 치료의 길라잡이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저자 정준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내과 교수로 연세의료원 연세암병원 혈액암센터에서 급성 백혈병과 다양한 골수성 종양 질환을 가진 환우들을 치료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장과 연세암병원 혈액암센터장을 역임했다. 대한조혈모세포이식 학회 우수논문상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우현학술상 등을 수상했다.대한혈액학회 급성골수성백혈병골수형성이상증후군 연구회 위원장과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다. 평소 학회와 연구회를 통한 학문적 활동뿐 아니라 환우분들과 환우 가족분들에게 도서나 동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질병에 대한 올바르고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의사는 치유하시는 하나님이 사용하는 도구라는 진료 철학을 가지고 있다.

저자 민유홍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로, 지난 30년 이상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 급성 백혈병 등 수많은 혈액암 환자를 치료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혈액암 명의다. 유한의학상 대상과 대한혈액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급성골수성백혈병골수형성이상증후군 연구회 위원장과 대한혈액학회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혈액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현재 백혈병 세포 항암제 내성 극복과 새로운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