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통증 비슷해도 치료법 달라…동시다발로 올 수도, 정확한 진단이 관건

# 50대 김모 씨는 최근 손부터 어깨까지 찌릿한 통증을 느꼈다. 김 씨는 병원을 찾아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석회성건염진단을 받았다. 통증에 체외충격파 치료를 받았지만 좋아지지 않았다. 이번엔 추가 MRI 검사에서 회전근개파열진단을 받았다. 김 씨는 수술을 권유받아 대학병원을 찾았다. 김 씨는 대학병원에서 수술 대신 운동재활치료로 충분하다는 의사의 말에 혼란스러웠다.

겨울 지나 날씨가 풀리면 관절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 진료실을 찾는 환자가 증가한다. 추웠던 날씨에서 기온이 오르면 야외 스포츠 등 신체활동도 늘어난다. 이때 근골격계 질환이 함께 증가하는 것이다.

특히 중년 이상은 관절 퇴행으로 통증에 취약하다. 중년에 어깨관절 통증이 많아 오십견이라는 병명이 붙은 이유다. 한편 병원 진료실을 찾는 환자들은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 ‘석회성건염등 어깨질환을 일으키는 비슷한 질환들에 혼란스럽기만 하다.

수술하지 않고 치료 가능한 오십견

오십견의 정확한 병명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중년에서 특별한 이유없이 생기는 어깨통증 원인 가운데 가장 흔한 질환이다. 심한 통증과 관절 움직임의 제한을 받는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어깨관절 가장 깊은 부위에 있는 얇은 막인 관절낭이 염증으로 두꺼워지고 유착돼 관절에 움직일 공간이 좁아져 생긴다.

어느 날 갑자기 가만히 있어도 아프고, 다른 팔로 올리려고 해도 심한 통증과 함께 올라가지 않는다면 유착성 관절낭염을 의심해야 한다. 주로 40~50대 이상에서 많이 생긴다. 한편 당뇨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발생률이 높고, 증상도 심해 치료 기간이 길다.

오십견, 유착성 관절낭염은 통증이 매우 심하고 움직이기 불편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성 질환이다. 하지만, 특별한 수술 치료 없이 꾸준한 재활운동과 약물치료로 증상은 좋아질 수 있다.

회전근개 파열은 다르다수술 필요할 수도

전 연령층을 통틀어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어깨질환 환자 가운데 가장 많은 원인은 회전근개 질환이다.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인 회전근 힘줄 부위가 손상된 상태다. 자연스런 퇴행성 변화로 약해진 힘줄이 찢어져서 오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초기 증상은 대개 팔을 움직일 때 특정 위치에서만 통증이 느껴져 불편한 정도다. 하지만, 머리감기와 옷입기 등 일상생활이 점차 어려워진다. 최근 수영과 테니스골프 등 스포츠 활동이 늘면서 20~30대 젊은 연령층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운동을 즐기면서 스트레칭 없이 수영테니스턱걸이 등 어깨를 올리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무리하게 하면 손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회전근개 파열은 손상된 범위와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다. 치료 전 현재 상태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필수다. 경미한 손상이면 약물재활운동 등 보존 치료를 할 수 있다. 이때 무작정 방치하면 파열이 진행된다. 증상이 있다면 정기적인 진료과 관찰이 필요하다.

파열된 깊이가 깊고 넓으면 봉합술을 한다. 봉합이 어려울 정도로 파열범위가 큰 광범위파열은 환자의 연령활동량, 관절 상태 등을 고려해 인공관절 치환술 또는 인대 이식술을 고려한다.

석회성건염비수술 요법으로 치료 가능

석회성건염은 회전근개 힘줄 부위에 석회가 침착해 생기는 질환이다. 힘줄의 퇴행성 변화와 미세혈류 감소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석회성건염이 있으면 밤에 잠을 잘 때 야간통증이 심하다. 주로 중년 이상 환자가 특별한 외상없이 극심한 어깨 통증을 갑자기 호소하면 석회성건염을 의심할 수 있다.

석회는 대부분 쌓이다가 자연적으로 흡수돼 사라진다. 이 과정에서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통증 경감을 위한 다양한 시술이 있다. 회전근개 질환 초기 증상과 비슷해 혼동할 수 있다. 치료 전 정확한 검사로 석회 유무와 회전근개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정형외과 곽재만 교수는 이처럼 중년에 많이 생기는 어깨질환들은 각기 다른 질환이지만, 해부학적 위치상 관절낭과 회전근개는 매우 밀접하게 붙어 있을 정도로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실제 동시에 생기는 경우도 많다충분한 감별없이 제한된 검사 소견으로 치료적 방침을 정하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켜 치료를 어렵게 만들 수 있는 만큼 어깨 전문의를 통한 전문적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