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한지연, 김선신, 박찬이 연구팀이 폐암 환자 유래 세포를 사용한 약물유전체 분석 플랫폼 구축해 난치성 폐암 환자를 위한 후보 약물 발굴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활용해 실제 치료 현장에서 난치성 폐암 환자로부터 수집한 암세포로 여러 항암치료제에 대한 반응성을 분석하고 폐암 세포 유전자 변이 등 다중오믹스 통합 분석도 수행했다.

그 결과, 폐암 치료 내성 기전을 파악해 환자 맞춤형 후보 약물 도출이 가능함을 입증해냈다.

연구팀은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통해 약물 반응성 스크리닝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동시에 시행했다.

구축된 플랫폼을 통해 환자 맞춤형 분석을 시행하고 EGFR-TKI 환자의 치료 양상에 따른 내성 기전에 대한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입증했다.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통한 분석 과정 모식도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통한 분석 과정 모식도

특히 3세대 EGFR-TKI의 약물 내성으로 인해 암세포가 전이 단계에서 주로 형성되는 기전인 상피 간엽 이행(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타입으로 진화함을 확인하고 세포주를 활용해 내성기전 검증과 타겟 후보 약물 도출에 성공했다.

한지연 박사는 “이번 연구는 폐암 환자의 내성 기전을 밝히고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개발해 약물 후보물질을 발굴함으로써 난치성 폐암 환자에 맞춤형 치료법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한 것”이라며 “약물 유전체 분석 플랫폼으로부터 후속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며 실험 대상 약물 확대 및 조사 대상 폐암 코호트 추가 수집을 진행해 내성기전과 환자 맞춤 약물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국립암센터 공익적 암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