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결핵 가장 많아…결핵 환자 약 임의 중단 절대 금물

현대의학이 발전하지 못했던 과거 결핵의 정체를 과학적으로 알 수 없었다. 그 시절 결핵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빼앗아 질병의 왕으로 불렸다. 한편 후진국 질병으로 사라진 줄 알았던 결핵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현재 한국의 결핵 환자 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1위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결핵은 모든 신체 부위에 생길 수 있다. 이 가운데 폐에 생기는 폐결핵이 가장 많다. 결핵균은 다른 세균에 비해 느리게 자라고, 몸에 들어와서도 병이 생길 때까지 잠복해 있는 기간도 길다. 특히 결핵균은 산소가 많은 곳을 좋아해 폐에 잘 생기는 것이다.

사진 게티이미지
사진 게티이미지

폐결핵 환자가 기침할 때 나오는 가래에 결핵균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 가래가 공기 중에 돌아다니다가 다른 사람이 숨을 쉴 때 코나 입을 통해 그 사람의 폐에 들어가 병을 일으킨다. 다만, 결핵균은 햇빛에 들어있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는 만큼 실외 공기는 안심할 수 있다.

몸에 결핵균이 들어왔다고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결핵균은 전염력이 강하지도 않다. 폐결핵 환자가 지하철 같은 공공장소에서 기침해도 병이 옮기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대부분 가족과 친구, 직장동료와 같이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는 사람에게 옮는 경우가 많다.

폐결핵은 초기 증상은 마치 감기와 비슷하다. 폐결핵을 감기와 혼동하는 이유다. 점차 증상이 심해져 감기가 원인 모르게 3주 이상 지속하거나, 가래 양이 많아지면서 누레지다가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한다. 또 땀을 많이 흘린다. 열이 나거나 덥지도 않은 날에 땀을 흘려 잠자리나 속옷이 젖기도 한다. 식욕이 떨어지고 가슴 통증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핵 치료는 대부분 1개월 이상 약을 먹으면 증상이 없어진다. 이후 가슴 사진과 혈액가래 감사를 받아가면서 결핵약을 6개월(4) 또는 9개월(3) 꼭 복용해야 한다. 결핵 치료실패 원은 약을 불규칙하게 먹거나, 환자가 증상이 없어졌다고 본인 마음대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울시 서남병원 호흡기내과 노진규 전문의는 처음에는 한 가지 약으로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 결핵이 재발하면 내성이 생겨 오랜 기간 약을 먹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서너 가지 약으로도 효과가 떨어지고 부작용만 커지게 된다환자가 임의대로 약을 끊는 것은 아주 위험하며 의사를 믿고 전문의 처방을 잘 따르는 것이 병을 한 번에 빨리 고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