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체내 수분 적어 설사 심하면 탈수에 빠질 수 있어 주의해야

무더위와 잦은 비가 반복되는 여름 장마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장마철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때 감염성 질환에 취약한 아이들은 장염에 노출되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장염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많이 걸린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2022년 장염 전체 환자는 420만 명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9세 이하 연령대가 22%924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대는 58만 명으로 14%를 차지했다. 전체 장염 환자 3명 가운데 1명이 어린이와 청소년인 셈이다.

장염은 감염성 장염과 비감염성 장염으로 구분한다. 여름철에는 어패류나 날음식 등 음식물 섭취를 통한 감염성 장염이 기승을 부린다. 장염에 걸리면 복통과 설사구토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보통은 수분섭취와 휴식을 통해 증상이 호전된다.

이에 비해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고령자만성질환자는 증상이 쉽게 악화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체내에 보유한 수분과 체액이 많지 않아 장염 주요 증상인 구토설사 횟수가 적더라도 탈수증세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들은 체내 수분의 10%만 빠져도 위험한 상태가 될 수 있어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

10세 미만, 탈수 진행 빨라 각별한 주의 필요

감염성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콜레라와 대장균이질장티푸스예르시니아 등 세균과 노로로타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들 세균과 바이러스는 고온다습한 여름철 환경에서 활발하게 번식한다. 이런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72시간 내에 구토설사복통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성 장염은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오리 등 가금류 등을 충분히 익히지 않고 먹었을 때 세균 등에 감염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 신선하지 않은 해산물이나 길거리 음식을 섭취했다가 생기기도 한다.

특히 여름방학 동안 아이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배달음식을 상온에 방치한 채 여러 번에 걸쳐 나눠 먹기도 한다. 이때 변질된 음식이 장염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장염은 두통발열오한 등 초기 증상만 보고 감기로 착각하기도 쉽다. 하지만, 1~2일이 지나면 복통과 구토설사로 이어진다. 10세 미만의 아이들은 장염에 걸리면 빠른 처치가 필요하다. 어른은 배탈과 설사를 해도 장염이 급속도로 진행되지 않고, 보통 대증치료로 호전된다. 이에 비해 아이들은 탈수 진행이 빨라 위험성이 높은 만큼 주의해야 한다.

특히 38이상 고열 증세가 하루 이상 지속되거나 설사복통이 심하고, 혈변 증상이 있으면서 음식을 먹기 힘든 상태라면 서둘러 병원을 찾아 입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개인위생과 음식물 관리 필수충분한 수분보충으로 탈수 막아야

여름철 장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식재료를 고온에서 충분히 익혀 조리하는 것이 좋다. 조리한 음식은 상온에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고, 냉장냉동 보관해야 한다. 신선한 채소는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어 바로 섭취하고, 물도 끓여 먹는 것이 좋다.

식재료 뿐만 아니라 조리도구나 조리과정에서도 세균 번식을 막는 환경을 갖춰야 한다. 조리도구는 자주 소독하고, 위생관리가 어려운 칼도마는 채소용과 육류어패류용 등으로 구분해서 사용해 교차오염을 막는다. 여의치 않다면 채소~육류~어패류 순으로 조리하고, 각 과정마다 세제를 이용해 칼과 도마를 세척하는 게 바람직하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강균은 소화기내과 전문의는 구토설사 등 장염 증상을 보이면 물보리차이온음료로 수분을 보충해 탈수를 막고, 특히 아이들은 탈수가 조금만 와도 소변량이 줄어드는 등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어 탈수 상태를 판단해 수액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증상이 심하면 X-레이나 CT 검사, 원인균 감별을 위한 대변 배양검사 등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