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개방증, 급격한 체중 감량 후 발병 많아
돌발성 난청과 메니에르병과 혼동하기도
# 직장인 김모(29‧경기도 일산) 씨는 최근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팀에 합류했다. 김 씨는 2개월 동안 기존 업무와 프로젝트 업무를 병행했고,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로 몸무게도 5㎏가 줄었다. 그러던 어느 날 소리가 예민하게 들리기 시작했다. 귀가 물속에 들어간 것처럼 먹먹하게 느껴졌다. 말소리나 숨소리가 귀에서 울려 들리기도 했다. 김 씨는 병원을 찾아 검사를 통해 ‘이관개방증’을 진단받았다.
이관은 유스타키오관이라고도 불린다. 수도 파이프처럼 생긴 이관은 코와 귀를 연결해 외부 기압과 중이 압력을 맞춰준다. 침을 삼키거나 하품할 때 잠시 열렸다 닫히면서 중이와 외부 압력을 맞춰주는 기능을 한다. 평소 닫혀있다가 상황에 맞게 열리고 닫혀야 하는 이관이 항상 열려있는 상태를 이관개방증이라고 한다.
이관개방증이 생기면 자신의 목소리나 숨소리가 귀에서 크게 울려들리는 ‘자가강청’이 대표 증상이다. 귀가 물속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먹먹하고, 청력이 떨어진 것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으로 청력이 떨어지는 질환인 ‘돌발성 난청’이나 ‘메니에르병’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이관은 근육으로 형성돼 있다. 급하게 체중이 줄면 이관 근육도 줄어들어 이관이 열리면서 이관개방증이 생길 수 있다. 다이어트로 체중을 감량한 경우가 아니면, 급격한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되는 다른 질환을 찾아보는 검사가 꼭 필요하다. 뇌혈관 질환과 운동신경섬유 질환, 다발성 경화증 등 근육을 위축하는 질환이 이관개방증을 일으킨다. 임신 등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관개방증 증상은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자연히 호전되기도 한다. 만성으로 이어지면 여러 불편감을 일으킨다.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하면 병원을 찾아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고려대안암병원 이비인후과 박의현 교수는 “이관개방증은 항콜린 효과를 갖는 비강스프레이제를 통해 쉽게 치료가 되고, 증상이 지속하면 환기관 삽입술이나 열린 이관에 필러와 지방‧연골 등을 주입하는 수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며 “급격한 체중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이나 근육을 위축하는 질환이 동반할 수 있어 빨리 병원을 가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