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질환-당뇨병 상호작용하면서 치주질환 악화
당뇨 있으면 치주질환에 더 주의해야

‘치주질환’은 치아를 둘러싼 잇몸이나 잇몸뼈 같은 치주조직에 생긴 염증이다. 치아 표면에 쌓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때 관리하지 않아 구강 내 세균이 증식하면서 생긴다. 여기에 흡연과 전신질환, 스트레스, 유전‧영양 상태 등 복합 요인이 치주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지속적인 염증은 치주조직 파괴를 가져오는 치주염으로 발전해 결국 치아를 뽑는 일도 벌어진다. 

한편 당뇨병은 치주염의 염증 반응을 촉진하고, 잇몸뼈를 흡수시켜 잇몸 건강을 악화한다. 당뇨병의 혈중 고혈당 상태는 단백질과 지방의 당화‧산화를 일으켜 최종 당화산물(AGEs)을 축적해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치주염이 당뇨병과 합병증을 악화시키는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치주염이 심하면 염증성 물질이나 세균성 산물이 구강 내 염증 부위에서 증가한 혈류를 통해 전신적으로 퍼져나간다. 이에 따라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고, 당뇨병에 의한 대사장애가 악화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라도 치과 치료 서둘러야

당뇨병이 있으면 치과 치료를 못 한다고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도 혈당이 적절히 조절된다면 대부분의 치과 치료를 무리 없이 받을 수 있다. 이에 비해 혈당 조절이 되지 않으면 내과와 협진을 통해 적극적으로 혈당을 안정시켜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당뇨병과 심각한 치주염이 함께 있다면, 치주질환 치료와 예방은 구강 건강 개선뿐 아니라 혈당 조절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더 적극적으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칫솔로 올바르게 칫솔질하기

당뇨 환자뿐만 아니라 치주염은 올바른 칫솔질이 중요하다. 잇몸이 약하면 치아와 잇몸 경계부에 칫솔모를 비스듬히 45도로 두고 가벼운 압력으로 진동을 주듯 짧고 부드럽게 움직이며 음식물 찌꺼기를 털어내는 칫솔법이 효과적이다. 

칫솔을 선택할 때 칫솔 머리 크기는 치아 2~3개를 덮을 정도가 적당하다. 잇몸 상태에 따라 보통 또는 부드러운 칫솔모를 선택하면 된다. 치실이나 치간 칫솔과 같이 치아 사이를 청결히 할 수 있는 보조기구도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홍지연 교수는 “대부분 치주염에 잇몸 치료를 받고 나면 완치돼 예전처럼 돌아갈 수 있거나 치료를 한 번 받고 문제가 생길 때까지 치과에 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치주염은 만성질환인 만큼 한 번 파괴된 치주조직은 돌이킬 수 없어 정기적인 검진과 스케일링을 통해 꾸준한 유지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