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서울권역외상센터 의료진, 20일 연구 결과 발표
외상 탓 급성 뇌실질내출혈로 개두술을 할 때는 '가동맥류 출혈'을 대비해야 한다는 국내 의료진의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주목된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서울권역외상센터 신경외과 김명수 전문의와 외상외과 김영환 전문의(서울권역외상센터장)가 쓴 ‘중경막동맥의 가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실질내 출혈 기전’ 주제 의학 연구논문이 스위스 온라인 학술지(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에 최근 발표됐다고 2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외상 후 중경막동맥의 가동맥류 파열은 경막외 혈종으로 존재하며 뇌실질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은 극히 드물다. 또한 발생기전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중경막동맥의 가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실질내출혈 관련 증례보고들을 검토해 ‘급성 뇌실질내출혈’과 ‘지연성 뇌실질내출혈’의 기전이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급성 뇌실질내출혈’의 경우 외상으로 인해 뇌경막이 파열되고 가동맥류가 경막의 바깥 표면에 부착되는데, 그 후 가동맥류의 파열로 인해 경막 파열된 부위를 통해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두개골 개두술 중 경막 외부 표면에 부착된 가동맥류가 파열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자는 개두술 시에 가동맥류로부터의 출혈을 미리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연성 뇌실질내출혈’의 경우, 외상 후에 발생한 중경막동맥의 가성동맥류는 혈관박동으로 인해 경막을 손상시켜서 경막 내부 표면에 가동맥류가 붙어 있게 된다. 그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가성동맥류는 파열을 일으키고 경막하출혈이나 뇌실질내출혈을 일으키게 된다.
이 경우 두개골 절제 시에는 가동맥류의 출혈이 발생하지 않고, 경막을 열거나 혈종제거 수술 시 가동맥류의 파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사 수술자는 지연성 뇌실질내출혈을 일으킨 중경막동맥의 가성동맥류에서는 급성 뇌실질내출혈을 일으킨 경우와는 다른 수술 시기에 출혈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고 이에 대비해야 한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이번 연구는 중경막동맥에서 가동맥류가 발생한 후 급성 및 지연 메커니즘을 통해 모두 뇌실질내출혈이 발생하지만 발생기전의 차이가 있다는 점과, 또한 수술 중 가동맥류의 서로 다른 파열 시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공의에서 전임의로 '연쇄사직' 현실화되나
- 전공의 없는 병원들…진료 축소에 입원환자 퇴원도 빨라져
- 세계 희귀질환의 날…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접근성 강화 토론회 열려
- 파프저해제 '제줄라-린파자', BRCA 변이 난소암서 효과 차이 없어
- 지속되는 팔꿈치 통증, ‘이것’ 때문일 수도…초기부터 적극 치료해야
- 인하대병원, 더 안전하고 침습 최소화한 갑상선암 수술법 개발에 성공
- 엔허투 이은 TROP2 표적 'ADC 폐암 신약', 美 FDA 허가 심사 착수
- 政 "19일 이미 전공의 6,415명 사직서 제출…1,630명 근무지 이탈"
- [칼럼] 진행성 신장암의 장기생존을 위한 필수 치료-면역항암제
- 요즘 소변이 부쩍 자주 마렵다면…‘자궁근종’ 검사 받아야
- 더 많이, 더 심각하게 뚱뚱해진 한국인…'초고도비만' 유병률도 1% 돌파
- 10~20대 고도근시를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이유…‘망막질환’ 막기 위해
- 해외원정치료 유도 '국내 루타테라 치료 횟수 제한 규제' 철폐 "청신호"
- "의사들, 파업 아닌 '포기'하고 있다"…의협 비대위, 대국민 호소문 발표
- ‘전공의 떠난’ 응급실 긴장감↑…政 대응에 분노하는 의사들
-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 눈대상포진 환자에겐 재발 위험 높여
- 출산의 고통 버금가는 '요로결석'…국물 찾는 겨울에도 조심해야
- 의료공백 현실화에 병협 '상황대응위원회’ 구성…"필수의료 유지에 최선"
- '서울시 비상진료대책상황실’ 운영…파업 참여 의사에 엄정 대응 예고
- 의료공백 현실화에 말기암 환우의 목소리…"의료현장, 방기해선 안돼"
- [소아 면역질환 이야기] 단기간 내 진단 어려운 '전신 자가염증성질환'
- 이미 시작된 빅5병원 전공의 사직…병원들 "일일이 확인 못할 정도"
- 터질 듯 붓는 다리, 밤마다 쥐 나면…‘하지정맥류’ 의심
- 안과 교수가 알려주는 '눈건강 지키는 7가지 생활 습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