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전체 교수 비상총회 열어 결정
교수 87%, 일정 시점 기준으로 적극적 행동 필요성에 의견 모아
응급의료·중환자 진료 위해 '참의료진료단' 구성…필수의료 유지

서울대병원 전경.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4개 의료기관 교수진이 정부가 현재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이달 18일 기점으로 자발적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의결했다. 서울대병원 전경.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4개 의료기관 교수진이 정부가 현재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이달 18일 기점으로 자발적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의결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1일 오후 5 시에 4 개 의료기관 교수진 430명이 참여한 비상총회를 개최해 주말 사이 이뤄졌던 전체 교수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자유 토론을 통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전체 교수의 77.7%(총 1,475 명 중 1,146명)가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은 현 사태가 지속되는 경우 교수의 단체 행동에 대해 찬성했다. 국립대 의과대학 교수 증원 규모도 비현실적인 안이라고 보았다.

또 정부가 3개 연구결과에 기초해 연 2,000명 의대 정원 증원을 결정했다는 것에 대해 99%의 교수가 이 결정이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95%의 교수는 만약 과학적, 합리적, 객관적 근거들을 바탕으로 의대 정원 증원 규모가 결정된다면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는 것에 동의했다. 

전체 교수 중 87%는 현 상황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국민과 의료계 모두에 큰 상처만 남기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교수들이 적극적 행동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냈다. 

비대위는 "이후 자유 토론을 통해 교수 집단행동에 대한 시기와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다"며 "긴 논의 끝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의료진의 한계 상황과 향후 진료의 연속성을 위한 고육지책으로 단계적 진료 축소가 불가피하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합리적인 방안 도출에 나서지 않을 경우 3월 18일 기점으로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급의료와 중환자 진료를 유지하기 위한 참의료진료단을 구성해 필수의료를 지키기로 했다"며 "또한 서울의대 비대위는 3월 13일 수요일 오후 2 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합리적 해결 방안을 의논하기 위해 보건의료단체, 시민단체, 정치계 및 각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와 국민 연대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며 이후의 행보를 구체화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