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 연기‧규모 재조정 논의 모두 불가 고수
정부가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사직 시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했지만 의대 정원 증원 연기, 증원 규모 재조정 등을 전제로 한 대화는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13일 오전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브리핑에 나선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전공의들이 이탈한 상황에서 상급종합병원이 교수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비상상황”이라며 “여기서 교수들까지 이탈한다면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의료체계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상황인데 교수들이 사직하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 초래된다”며 “환자를 등지고 현장을 떠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의대 정원 연 2,000명 증원과 관련해서는 의대 정원에 대한 논의는 가능하지만 정원 규모에 대한 정부 의지는 확고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박 차관은 “모든 논제가 대화 주제가 될 수 있다.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한 것도 대화 논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정부는 생각이 확고하다”며 “의대 정원 증원 1년 연기, 규모 축소 등을 전제로 하는 대화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임상교수 집단행동은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다.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정부가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의 책임은 결과가 좋든 나쁘든 모두 장차관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빅5병원’ 줄도산 우려…“붕괴되면 되돌릴 수 없어”
- "이달까지 전공의 복귀 안하면 대한민국 의료 파국…대화협의체 구성을"
- "年2천명 증원? ‘속도 조절’ 필요…돌아오는 길 생각해야”
- 의대 19곳 교수비대위 결성…대학병원 교수들 사직 여부도 15일 결정
- ‘찌릿찌릿’ 심한 얼굴 통증에 치과 갔다가 낭패 보는 질병…“이것”
- ‘최후의 보루’ 의대교수 중재도 무산…대화협의체 제안 ‘醫-政’ 거절
- "2천명 증원이 환자 등질 정도냐" 불편한 속내 드러낸 정부
- '잠이 보약'이라는데…청소년·화물차 운전자 등 수면건강 취약
- 서울대병원, 상급종합병원 최초 AI 기반 소프트웨어 제조인증 획득
- 향을 더한 다한증 치료제 ‘드라이언’ 출시
- 인하대병원, 필수의료 중심 전문성 강화…교수 18명 영입
- 정부, 어떤 질병이든 제때 치료받도록 '지역완결적 의료체계' 구축한다
- 빅5 등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 36.5%↓…중환자실 입원환자 변동 없어
- "법원이 의대 증원 멈춰 달라"…제자 돌아오길 바라는 의대 교수의 눈물
- 서울대병원 신경-정신질환 유효성평가센터, 신약 개발 업무협약 체결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