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 연기‧규모 재조정 논의 모두 불가 고수

정부가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사직이 발생할 경우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의료계가 요구하고 있는 의대 정원 증원 연기나 규모 재조정 등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사진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 나선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 사진 제공=보건복지부
정부가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사직이 발생할 경우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의료계가 요구하고 있는 의대 정원 증원 연기나 규모 재조정 등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사진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 나선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 사진 제공=보건복지부

정부가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사직 시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했지만 의대 정원 증원 연기, 증원 규모 재조정 등을 전제로 한 대화는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13일 오전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브리핑에 나선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전공의들이 이탈한 상황에서 상급종합병원이 교수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비상상황”이라며 “여기서 교수들까지 이탈한다면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의료체계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상황인데 교수들이 사직하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 초래된다”며 “환자를 등지고 현장을 떠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의대 정원 연 2,000명 증원과 관련해서는 의대 정원에 대한 논의는 가능하지만 정원 규모에 대한 정부 의지는 확고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박 차관은 “모든 논제가 대화 주제가 될 수 있다.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한 것도 대화 논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정부는 생각이 확고하다”며 “의대 정원 증원 1년 연기, 규모 축소 등을 전제로 하는 대화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임상교수 집단행동은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다.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정부가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의 책임은 결과가 좋든 나쁘든 모두 장차관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