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구로병원 연구팀…자궁암 수술 중 림프절 전이 확인·제거 가능
최근 ‘자궁암’이 크게 늘고 있다. 자궁암은 주로 림프절을 통해 전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광범위 림프절 절제술을 한다. 한편 하지림프부종 등 수술로 인한 합병증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여려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관련, 고대구로병원 산부인과 조현웅 교수와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 공동연구팀은 암 표적 형광물질과 복강경 형광영상시스템을 이용해 자궁암 수술 중 림프절 전이 여부 확인과 림프절 정밀제거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자궁암 림프절 전이를 가진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전이성 림프절을 감지할 수 있는 형광조영제인 ‘인도사이아닌그린’(ICG)과 ‘인도시아닌그린’을 결합한 ‘만노실 혈청알부민 복합체’(MSA:ICG) 조영제의 표적화 능력을 비교‧분석했다.
정밀검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암 표적 형광물질(MSA:ICG)이 전이림프절 종양에서 CD206(형광신호)발현이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형광조영제(ICG)는 전이림프절과 정상 림프절을 구분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 암 표적 형광물질(MSA:ICG)을 사용하면 전이림프절의 형광신호가 크게 증가해 전이림프절과 정상림프절을 수술 중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암표적 형광물질을 수술에 사용하면 수술 중 실시간 전이 림프절을 확인해 전이된 림프절만 정밀하게 제거하는 수술법이 가능하다. 또 광범위 림프절 절제술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을 예방하고, 암 조직만 정밀하게 제거해 환자 생존율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고대구로병원 부인암센터 조현웅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궁암에서 암 표적 형광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유도 수술법이 실시간으로 전이림프절을 확인하고, 정밀하게 제거하는데 유용하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연구에서 확인한 암표적 형광조영제 사용 영상유도수술이 자궁암 환자의 합병증과 더불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대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MSA:ICG 조영제가 정밀하게 암을 표적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폐암과 식도암‧유방암‧위암‧대장암등 다양한 암 수술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SCIE 학술지인 <세계외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impact factor 15.3)>에 실렸다.
한편 인도시아닌그린이 결합된 ‘만노실 혈청알부민 복합체’(MSA:ICG)는 고대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와 서울의대 핵의학과 정재민 명예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한 특허 물질이다. ㈜셀비온에 기술 이전돼 사업화를 앞두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