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권익협의회, 5일 췌장암 환자 피해 사례 조사 결과 발표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공백 탓에 암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일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췌장암 환자 중 정상진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33%에 불과하고, 나머지 환자들은 진료 거부, 치료 지연 같은 문제들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5일 췌장암 환자 281명을 대상으로 한 이같은 피해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7%가 진료 거부를 겪었고, 51%는 치료가 지연되고 있다고 답했다. 정상진료가 진행됐다고 답한 췌장암 환자는 92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33%에 불과했다.
이외에도 췌장암 환자들은 ▲입원실 축소로 입원 취소 ▲입원항암에서 가방항암(암환자들이 항암 치료를 받으면서 치료제와 이를 정맥에 주입하는 기구를 가방에 챙겨 다니며 직접 치료)으로 변경 ▲전원 종용 ▲수술 취소 가능성 통보 ▲응급실 진료 거부 등의 일을 겪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췌장암 환자들이 겪는 피해사례가 주관식 답변을 통해 가능했는데, "항암 치료 중 간에 전이됐는데 새 환자는 받지 않겠다며 다른 병원으로 가라고 거절당했다"는 답변도 있었고, "항암 치료가 한 주 뒤로 지연됐다. 의사는 상관 없다고 했지만 환자 입장으로 불안했다. 또 다학제가 취소돼 과마다 외래를 잡아 진료를 가야 했다"는 답변도 나왔다.
암환자권익협의회는 "이번 사태로 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정부가 인정한다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환자 단체의 참여를 확대해달라"며 "의료공백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환자의 치료 공백을 방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대형병원 병상 수 축소 ▲수도권 병상 허가 재검토 ▲필수의료 전공의 수련 과정 강화 ▲비대면 진료의 공공적 관리를 제안했다. 이어 일본의 의대 정원 증원 사례를 참고해 지역별로 필요한 전공의 수를 확충하는 지역 정원제 도입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암환자권익협의회는 "중증 질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의료 공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