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란 대변인 “의사들 현장으로 복귀해 정부와 소통해야”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행정처분 절차를 중단하겠다고 결정했음에도 의료계 반발이 이어지자 여당이 의료개혁 추진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청년의사).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행정처분 절차를 중단하겠다고 결정했음에도 의료계 반발이 이어지자 여당이 의료개혁 추진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청년의사).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행정처분 절차를 중단하는 등 의료계에 유화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여전히 전공의들의 ‘복귀 거부’에 이어 의대 교수들의 ‘전체 휴진’, 대한의사협회의 ‘총파업’ 추진 움직임을 보이자 여당이 “완력으로 시대적 개혁 과제를 멈출 순 없다”며 의료개혁 추진 의지를 다졌다.

국민의힘 김혜란 대변인은 5일 논평을 통해 “정부는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으로 돌아오기만 하면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임을 강조하며 병원들이 전공의들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할 수 있게 했고 진료 유지명령도 철회했다”며 “전공의들은 더 이상 국민과 환자를 외면하지 말고 병원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병원과 전공의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정부 의지가 확인된 만큼 국민의 우려가 더 커지지 않도록 의대 교수들의 전체 휴진 시도도 즉각 멈춰주길 요청한다”면서 “또 개원의들의 총파업을 유도하려는 의협 역시 이를 중단하고 먼저 정부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의료개혁을 올바른 방향으로 끌고 가기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 의료인들의 혜안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며 “의사들은 더더욱 의료 현장으로 복귀해야 하고 정부와 의료개혁특별위원회와 소통하고 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당은 의료개혁 과제를 반드시 완수하겠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의료개혁은 반드시 완수돼야 한다. 오랜 기간 지속된 의·정 갈등 속에서 의료개혁 추진과 의료 인력 확충의 정당성이 더욱 분명하게 증명됐다.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의 첫 걸음일 뿐”이라며 “개혁 과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개혁에는 갈등과 저항이 따른다. 하지만 완력으로 시대적 개혁 과제를 멈출 수는 없을 것”이라며 “국민이 없으면 정부, 정치가 존재할 수 없듯 의사 역시 존재할 수 없다. 국민이 고통에 신음하고 있다. 환자들이 병원에서 애타게 의사들을 기다리고 있다. 바로 돌아와 달라”고 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