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연합회 "환자 피해 사례 아닌 사망 사례 받게 생겨"
환우회들 "환자 생명 담보로 무엇을 얻으려고 하나" 규탄
교수 사직서 수리, 외국인 의사제도 도입 등 요구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2일 서울대병원 후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교수들의 집단 휴진 결정을 비판했다. 사진 제공=한국중증질환연합회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2일 서울대병원 후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교수들의 집단 휴진 결정을 비판했다. 사진 제공=한국중증질환연합회

오는 17일 집단 휴진을 결정한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를 시작으로 대학병원 교수들의 집단 휴진 분위기가 짙어지자 중증 환자들이 불안감을 호소했다.

이들은 “환자 생명과 전공의에 대한 처벌 불가 요구 중 어떤 게 우선되느냐”며 집단 휴진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지난 12일 서울대병원 후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중증질환연합회 김성주 회장은 교수들에게 현 상황의 선후(先後)와 경중(輕重)을 생각하라며 집단 휴진이 아닌 환자, 국민과 대화하라고 촉구했다.

김 회장은 “서울의대 교수들은 교육자이지 단순히 돈벌이하는 직업인이 아니다. 더구나 국민 세금으로 운영하는 국립대학 교수”라며 “그런데도 국민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내팽개치며 집단 휴진을 선언했다. 다른 대형병원 교수들도 휴진을 선언할 분위기가 감지돼 더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대한의사협회의 18일 전면 휴진과 맞물려 중증질환자들은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미래의료와 제자를 생각한다면서 당장 목숨이 위태로운 환자들의 하소연은 매몰차게 거절하는가. 이제는 중증질환자 ‘피해’ 사례가 아닌 ‘사망’ 사례를 접수할 처지에 놓였다”고 했다.

이에 서울의대 교수들에게 “무엇이 중한지 따지는 이성을 되찾으라”며 집단 휴진 결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김 회장은 “환자 생명과 불법 전공의에 대한 처벌 불가 요구 중 어느 것이 더 우선하는 가치인지 묻고 싶다”라며 “집단이기주의에 빠져 결정한 집단 휴진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 의사 이익을 위해 환자 생명을 저버렸다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한다. 무엇보다 중증질환자를 죽음으로 몰아가선 안 된다”고 했다,

이어 “선후와 경중을 생각해달라”며 “정부 조치에 분기탱천하는 시선을 거두고 먼저 환자, 국민과 눈 맞추고 대화하라. 그리고 의료 현장으로 돌아와야 한다. 중증질환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집단 휴진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말했다.

중증질환자연합회 산하 환우단체 회장들도 집단 휴진을 결정한 교수들을 강하게 질책했다.

한국루게릭연맹회 김태현 회장은 “의사 집단의 폭력배 같은 행동을 보고 죽더라도 학문과 도덕과 상식이 무너진 사회의 엘리트로 존재하는 의사 집단에 의지하는 것을 포기하기로 했다”며 “정부는 어떤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꼭 의료개혁을 성공해 달라. 법과 원칙에 따라 의사집단의 불법행동을 엄벌해달라”고 촉구했다.

한국췌장암환우회 변인영 회장은 서울의대 교수를 향해 “당신들이 지켜야 할 환자들이 죽어가고 있다. 120일의 여파로 많은 중증환자들이 병세가 악화돼 떠나게 될 것을 알고 있지 않나”라며 “그럼에도 4기 환자를 호스피스로 내몰고 긴급한 시술을 2차 병원으로 떠밀고 항암과 수술을 미루지 않았나”라고 비판했다.

변 회장은 “그동안 참고 기다렸지만 그 결과는 교수들의 전면 휴진”이라며 “우리들의 생명을 담보로 무엇을 얻으려고 하나. 치료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니 병을 이겨내겠다는 신념도 무너진다. 환자들이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에 중증질환자연합회는 의료계에 전면 휴진과 총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전공의 사직과 관련된 논의에 나서라고 했다.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서는 이번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했다.

그 외에 ▲의료개혁 추진단 등에 환자단체 참여 확대 ▲전공의 복귀 ▲필수·공공·지역의료 확대 위한 실행방안 발표 ▲사직한 교수 사표 수리 후 새로운 교수 임용 ▲외국인 의사제도 적극 검토를 요구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