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이종대‧이세아 교수 공동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백신이 발병에 직·간접 영향 미쳤을 수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국내 안면마비 발병 환자가 증가했으며, 특히 고령 당뇨병 환자에서 이같은 양상이 두드러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은다.

안면마비는 신경 기능 이상으로 얼굴을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근육이 마비되는 질환으로, 벨마비‧람세이헌트증후군 등이 있다. 안면마비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단순포진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코로나19 감염 시 안면마비가 초기 증상으로 보고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안면마비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종대 교수. 사진 제공=순천향대부천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은 이 병원 이비인후과 이종대‧이세아 교수 공동연구팀이 국내 5개 대학병원에서 안면마비로 진료받은 환자 943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2017~2019년)과 이후(2020~2022년) 안면마비의 발병률과 회복률, 재발률을 비교‧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 벨마비 환자 발병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75.3%에서 이후 83.6%로 8.3%포인트 증가했다. 완전 회복률은 88.2%에서 73.9%로 하락했으며, 재발률은 2.9%에서 7.5%로 증가했다. 벨마비 환자의 평균 연령은 47세에서 53세로 높아졌고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 비율은 8.5%에서 24.2%로 증가해, 당뇨병을 앓는 고령 환자의 벨마비 위험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람세이 헌트 증후군 환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종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나 예방접종이 안면마비 발병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향후 코로나19와 안면마비 간 연관성과 병리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