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신동욱·숭실대 한경도 교수 연구팀
절단 경험 환자 2만2,950명 데이터 분석결과 발표

뼈암이나 각종 사고 등으로 신체 절단을 경험한 환자들이 심장 관련 질환을 갖게 될 위험성이 일반인보다 높고,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그 위험이 더 올라간다는 사실이 대규모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이 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최혜림 교수,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립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2010~2018년 절단 경험 환자 2만2,950명과 나이와 성별에 맞춰 선별한 대조군 7만6,645명을 비교한 연구로 절단 경험 환자의 심장질환 발병 위험성이 높고 적절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8일 발표했다. 

지난 2022년 대한재활의학회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38.3명꼴로 절단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기준 17만5,315명이 절단으로 장애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절단과 심장질환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절단 환자들은 심장질환 발병의 위험성이 더 높았다. 절단 경험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심근경색 30%, 심부전 27%, 심방세동 17%로 각종 심장병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위험은 절단으로 장애 정도가 심할 때 더욱 도드라졌다. 장애 정도가 심각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발병 위험이 심근경색 81%, 심부전 134%, 심방세동 52%였다. 장애 정도가 이 보다 낮은 경증에서 중등도 사이 환자는 심근경색 35%, 심부전 20%, 심방세동 26%로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확실히 높은 수치였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데 대해 연구팀은 신체 활동 감소, 비만 증가, 음주 등 생활습관이 바뀌고, 절단으로 인한 혈역학적 변화가 발생한 탓으로 풀이했다. 또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도 심장질환 발생을 부추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동욱 교수는 “환자들이 처음 마주한 절망이 워낙 큰 탓에 심장질환까지 다루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면서도 “(심장질환은) 환자에게 더욱 치명적이면서 예방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절단 이후 환자들을 면밀하게 관찰해 재활 과정에서 이를 포함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