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장애 유형 10가지로 분류…가족‧지인 지지와 협력 필요

사람은 생김새가 다르듯 성격도 다르다. 성격적인 경향으로 주변 사람들과 자주 부딪히거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한다면 혹시 성격장애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성격장애는 자신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은 물론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성격장애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환자 스스로 치료를 결심하기까지 어려움이 있어 되도록 가족이나 주변 지인의 지지와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성격적 경향성A군 성격, B군 성격, C군 성격으로 구분

성모연정신건강의학과 이상섭 원장
성모연정신건강의학과 이상섭 원장

성격은 크게 10가지로 분류한다. 심한 성격장애가 아니면 한 가지 주된 성격 경향과 부수적인 성격 경향이 같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엇보다 성격적인 경향과 성격장애는 구별해야 한다. 누구나 성격적인 경향은 보이지만 그렇다 해서 모두 성격장애에 해당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A군 성격은 괴상한 성격으로 주변에 관심이 없다. 이 부류에 속하는 성격은 분열성과 분열형편집성 성격이 있다. 분열성은 자신만의 생각에 몰입하고, 남들과 친해지고 싶어 하지 않는다. 공감 능력이 떨어진 상태로 대개 자신만의 세계에서만 사는 히키코모리 같은 유형이다.

분열형은 괴이한 생각공상과 초자연적인 현상에 몰입하면서 주변에 관심이 없고, 관계를 맺으려고 하지 않는다. 편집성 성격은 다른 사람을 신뢰하기 어렵고, 어떤 일이 일어났다는 증거가 없음에도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거나 자신을 조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주변에서 호의를 베풀어도 고마워하지 못하고, 오히려 의심하거나 적대감을 보인다.

‘B군 성격은 변덕이 심하고 감정적이다. 때로는 충동적인 언행을 보이는 성격이다. 경계성과 반사회적, 자기애성, 연극성 성격이 있다. 경계성 성격은 불안정한 성격으로 주변 사람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변한다. 자살 시도 또는 극단적인 행동이 잦다.

반사회적 성격은 공감 능력이 부족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을 도구적으로 사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자기애성 성격은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과신한다. 남들이 자신을 떠받들어 주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크고, 자신을 위해 남을 잘 이용한다.

연극성 성격은 자신이 관심의 초점이 돼야 하는 성격이다. 대체로 이야기를 과장하거나 비약하는 경우가 많다. 사물이나 상황을 묘사할 때 지나치게 극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C군 성격은 불안하고 겁이 많은 성격이다. 주변 사람의 의견을 따르거나 융통성 없이 정해진 대로만 일을 처리한다. 강박성과 회피성의존성 성격이 여기에 해당한다. 강박성 성격은 원리원칙을 고수하고, 융통성 없이 세밀한 것에 집중하고 완벽을 추구한다.

회피성 성격은 주변에 관심은 많지만 소극적이다. 가까워지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거절당할까 두려워 표현을 잘못한다. 의존성 성격은 주요 대상으로 생각하는 부모 또는 남편에게 모든 결정을 양보한다.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불안감을 느낀다. 지나치게 순종적인 모습을 보인다.

성모연정신건강의학과 이상섭 원장은 성격장애로 의심되면 정확한 진단은 현재 겪고 있는 증상과 행동 양식, 대인관계 등을 정신건강 전문의와 충분한 면담을 통해 가능하다성격장애로 진단되면 올바른 치료를 위해 환자의 개인별 건강 상태와 심리상태에 따라 정신과 치료, 심리약물치료 등을 적절히 적용해 볼 수 있고, 필요하면 가족과 상담이나 사회 복귀훈련도 병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