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관절통’…실내외 온도차 5℃ 유지하고, 냉기 직접 맞지 않아야

여름철은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자주 쓰는 관절에 통증이 평소보다 심해지면 일상에 불편을 호소할 수 있다. 통증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그대로 방치되면 증상이 악화한다.

한편 무릎이나 어깨허리 등에 발생하는 관절통은 흔히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철 빈발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의외로 주변을 둘러보면 여름 관절통을 호소하면서 병원을 찾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2021~2023년 관절통으로 7~8월에 병원 진료를 받은 여름철 관절통 369,312명이었다. 이는 11~12월 환자 347,983명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저기압으로 관절통 증가와 에어컨 바람으로 여름 관절 오히려 경직

날씨는 관절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높은 습도와 저기압은 관절 내 압력을 키워 통증과 부기를 촉진하는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추정된다. 실제 장마철 궂은 날씨가 이어지면 관절통 환자들이 증가하는 이유다.

여름철 관절은 ‘냉방병’을 위험이 커진다. 폭염이 심해지고 날씨가 더워지면 에어컨 등 냉방 기기 사용량도 늘어난다. 만성질환이 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냉방병을 겪을 위험도 커진다. 특히 실내외 온도 차가 10℃ 이상 심하게 벌어지면 관절통이 발생하는 환경이 조성되기 쉽다.

무더운 여름 기온에 적응한 몸이 냉방으로 급격하게 차가워진 실내 공기와 닿으면 말초 혈관과 근육 수축 등이 일어나고, 관절이 경직되면서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여름철은 겨울과 달리 실내에서도 얇은 옷이나 반소매반바지 등을 착용해 관절 부위를 보호하기 어려워지는 만큼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내외 온도 차 5유지하고, 냉기 직접 맞지 말아야

여름 관절통을 예방을 위해 신체가 급격한 온도 차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더위에 적응한 신체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냉방기기를 사용할 때는 실내외 온도 차를 5로 유지한다. 특히 퇴행성관절염 등을 앓고 있는 환자는 지나치게 낮은 온도의 냉방 환경을 피하기 위해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

차가운 냉기가 신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평소 불편하게 느끼는 관절이 있다면 더 주의하는 것이 좋다. 관절 주변 근육과 혈관 수축을 직접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고, 증상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냉기가 신체에 지속해 닿으면 추위를 피하는 구부정한 자세가 되기도 한다. 이때 목과 허리 관절 건강에 좋지 않은 습관이 될 수 있다. 직접 냉기는 피하고, 얇은 가디건을 입어 몸을 움츠리지 않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좋다.

틈틈이 스트레칭과 가벼운 운동으로 근육을 부드럽게 이완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근력을 키워 관절 통증을 약화하고, 장기적으로 더 좋은 방법이다. 이때 지나치게 무리해서 움직이는 것은 좋지 않고, 부담 없이 가능한 선에서 운동해야 한다. 관절이 빳빳하게 굳은 느낌이 든다면 무리해서 운동하지 않도록 한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김재중 과장은 냉방병으로 인한 관절통은 환경이 바뀌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가 대다수지만, 간혹 통증이 악화하거나 지나치게 오래 지속하는 경우도 있다특히 무릎이나 어깨허리 등 주요 관절에 통증이 있다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