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유형 별 시신경염 예후인자 규명
시신경염 환자 355명의 예후 인자 분석 발표
시신경척수염·모그항체질환형 조기치료 중요
초기 시력손상, 모든 유형서 시력 회복과 연관

시신경염. 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시신경염. 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모그항체질환 같은 희귀질환으로 인해 시력장애가 초래되는 ‘시신경염’이 원인 질환에 따라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가 시력 회복에 도움되는 시기가 다르다는 사실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밝혀졌다.

시신경척수염형 시신경염은 발생 3일 내 신속한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가 필요하고, 모그항체질환형 시신경염은 증상 발생 7일 내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를 하면 시력 회복에 도움을 받지만, 원인을 모르는 특발성 시신경염이나 다발성경화증형 시신경염은 치료 시점과 시력 회복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김성민 교수, 민영기 연구원, 김성준 교수, 정재호 교수.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신경과 김성민 교수과 민영기 연구원, 안과 김성준·정재호 교수 등 총 10개 의료기관의 공동연구팀이 시신경염 환자 355명을 대상으로 시신경염 주요 유형별 예후인자를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2일 발표했다.

시신경염은 시신경 신경섬유에 염증이 생겨 안구 통증과 시력·시야·색각 이상이 나타나는 급성질환이다. 주로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모그항체질환 등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염증성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유발된다. 최근 국내 자가면역질환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시신경염 유병 인구도 증가 중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정맥주사를 투여해 치료한다. 그러나 적절한 주사 치료 시점이 언제인지, 실제로 장기적인 시력 회복을 촉진하는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또한 시신경염은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법과 예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세부 유형을 구분해 효과적인 치료법과 예후인자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연구팀은 2010~2022년 전국 10개 병원에 내원한 환자 355명을 시신경염 발생 원인에 따라 ▲특발성 ▲다발성경화증형 ▲시신경척수염형 ▲모그항체질환형으로 구분하고, 2년 이상 추적 관찰해 시력 회복과 연관된 예후인자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예후인자 분석에는 성별, 연령, 시력, 증상 발병 후 치료까지 걸린 시간 등을 봤다.

그 결과, 시신경척수염형 시신경염은 증상 발생 3일 내, 모그항체질환형 시신경염은 증상 발생 7일 내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를 하면 시력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특발성과 다발성경화증형 시신경염은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 시점과 시력 회복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시신경척수염형과 모그항체질환형 시신경염은 증상 발생 후 신속한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모든 시신경염 유형에서 발생 당시 ‘시력손상 정도’는 회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신경염 발생 수일 이내 시력 손상이 심한 환자는 향후 시력이 잘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밖에도 모그항체질환형 시신경염은 ‘여성’의 시력 회복 예후가 좋지 않았다. 시신경척수염형과 특발성 시신경염은 ‘고령’일수록 시력 회복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민 교수는 “국내 다기관 연구진이 협력한 이번 연구를 통해 시신경염 유형별 치료법과 예후가 다르므로 명확한 진단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신경과·안과의 유기적 협진과 적극적인 조기 치료를 통해 시신경염 환자의 장기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